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비범한레오파드101
비범한레오파드10122.10.11

햇빛의 색깔은 어떻게 변하나요?

햇빛의 색깔은 어떻게 변하나요?

새벽에는 흰색 낮에는 노랑색 노을질때는 붉은색으로 변하는데 이러한 이유가 어떻게 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11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낮의 해는 지표면으로 비추는 거리가 짧아 집니다. 하여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의 빛이 산란되어 지표까지 도달하게 되고 이로인해 하늘은 파랗게 되고 나머지 빛은 지표까지 도달하게 되어 햇빛의 색상을 볼수 없게 됩니다. 하지만 아침 저녁의 빛은 지표로 비추는 거리가 길어집니다.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은 하늘의 대기중에서 모두 산란되고 파장이 긴 노랗고 빨간 계열은 지표에 도달하기 직전에 산란됩니다. 하여 우리눈에 붉게 보이게 됩니다.


  • 햇빛의 색깔은 무지개색입니다. 빛의 파장에 따라 색은 다르게 보입니다. 가장 긴 파장의 빛이 빨강색이며, 가장 짧은 게 보라색입니다. 빨강색보다 긴 파장은 적외선, 보라색보다 더 짧은 파장은 자외선 영역으로 사람의 눈으로는 볼 수 없습니다. 사람이 볼 수 있는 영역을 가시광선이라고 하는데 하늘이 파랗고 구름이 희고 노을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모두 빛의 산란과 우리눈에 도달하는 영역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노을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햇빛이 투과되어 오는 빛의 경로가 낮보다 훨씬 길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빛의 경로가 길어지면 산란이 잘 일어나는 낮하늘의 파란색은 이미 대기층을 지나는 도중에 산란을 일으키고 사라져 버립니다. 파란색보다 비교적 긴 파장의 붉은색이 대기층을 통과해 우리 눈이 볼 수 있는 한계점에서 산란을 일으키기 때문에 노을을 붉게 볼 수 있는 것입니다.


  • 태양의 고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태양빛의 기울기가 작아지게 됩니다.

    기울기가 작아져서 통과하는 대기층이 기울어지는데,

    파장이 짧은 파란~보라 빛은 대기층을 통과하지 못하고,

    파장이 긴 빨~주황색만 대기층을 통과하기 때문에 노을 빛이 붉습니다.

    즉, 태양의 고도와 기울기에 의해 색이 달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햇빛은 모든 파장의 빛을 내뿜기 때문에 낮에는 흰색이나 노르스름한 색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지구상에는 대기가 존재하고, 해질 무렵이나 해뜰 무렵에 태양 빛이 두꺼운 대기를 뚫고 오기 때문에 짧은 파장의 빛인 파란 빛들은 산란되고 긴 파장의 빛이 도달해 붉게 보입니다. 또한, 낮에는 해뜰 때와 해질 때에 비해 태양과 빛이 지나는 대기층이 상대적으로 얇아지기 때문에 모든 빛이 잘 들어옵니다.

    노을은 해질 무렵, 태양이 지평선에 놓일 때 태양 빛이 지구의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온 빛을 보게됩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은 우리눈에 도달하기전에 산란되어 흩어져 버리고, 파장이 긴 빛들 빨강, 주황, 노랑 등의 빛은 산란되지않고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노을이 노랗고 붉게 보이는것이죠. 이 때 대기에 먼지, 수증기량 등 대기에 함유하고 있는 성분에 의해 빨강, 주황, 노랑 등의 색 중 산란을 겪는 색이 존재할 수 있으며, 우리 눈에 들어오는 색이 달라 보일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는 두꺼운 대기가 있습니다.


    이 대기를 태양빛이지나가면서 공기분자들과 부딪히고 산란되어 특정 전파들이 소멸하거나 흩어집니다.


    그러면서 남은 빛의 색이 우리눈에 들어오면 해당 색이 하늘의 색이됩니다.


    노을이나 새벽녘의경우 태양이 지나가는 대기의 두께가 더 두꺼워지기때문에 색이변화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