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10.06

물속에도, 산소가 들어 있나요?

어린 시절 과학 시간에 배웠던 생각이 나는데 물속에도 산소가 들어 있다고 하더라고요 이렇게 물속에 있는 산소는 어떻게 생성이 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
    23.10.08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 속에도 광합성을 하는 수중 생물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존재들에 의해서 물 속에서 산소가 생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중 식물 중에 육지와 동일하게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생성하는 종이 존재합니다. 이 식물들로 인해 산소가 생성됩니다. 또한 물 자체가 산소를 구성하는 원자들로 구성된 만큼 물 속에도 일정량의 산소가 녹아 있기 때문에 아가미 등으로 호흡하는 생물들은 이러한 산소를 공급받아 호흡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속에도 산소가 존재합니다. 외부에서 들어가기도 하고 광합성을 통해서 물속에서 생성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물은 일반적으로 산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물은 화학식 H2O로서, 2개의 수소 원자와 1개의 산소 원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물 분자의 구조상 산소 원자와 수소 원자 사이에는 공유결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공기는 대부분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물에 닿게 되면 공기 중의 산소 분자들이 물로 용해되어 물 속에 존재하게 됩니다. 이렇게 물 속에 용존된 산소는 수생 생물들에게 호흡과 생존에 필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해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물에는 산소와 수소의 원자들이 겹합되어있습니다. 그러므로 물에는 산소가 포함되어있다는 말이 사실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예시로 물고기들이 아가미로 물속에있는 산소를 마시며 호흡하며 산다는 것을 들 수 있을 듯 합니다.

    그렇다면 물속의 산소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이 질문은 물속에도 광합성을 하는 식물들이 많이 살고있습니다. 이런 식물들이 광합성을하고 그 결과 산소를 물속에 배출하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수 과학전문가입니다.

    h20 가물이 잖아요 그러니깐 물속이 약간의 산소가 있죠 다만 인간이 숨쉬듯 필요한양은 안되구요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 속에도 산소가 존재합니다.


    공기 중의 산소가 물 속으로 유입되기도하며, 물 내 동식물들이 호흡을하며 방출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물은 H2O로 두개의 수소 원자와 하나의 산소 원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두 원자는 서로를 공유하며 전자 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적 결합으로 물 분자 구조를 유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물 속에 산소가 녹아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초에 바다가 생성될때 산소가 녹아 들어가 있었으며 대기중에있는 공기도 녹아 들어갑니다.

    용해도가 높지 않아 물고기등은 사람과 달리 아가미 호흡을 통해 산소를 마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속에 산소가 녹아 있는데 그걸 용존 산소량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물고기가 물속에서 아가미로 물이 들어오면 그 아가미에 모세혈관을 통해서 물에 있는 산소로 호흡을 하여서 살아갈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공기와 접촉하면 공기 중의 산소를 녹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공기중의 산소가 물에 녹아 물에도 산소가 들어 있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물속에도 산소가 녹아있죠.

    그래서 물고기들이 아가미를 통해 이런 용존산소를 호흡할수있는것 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