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

실제로 꾀병이라는 병이 있나요?

거의 모든 사람들이 어렸을 때 한 번쯤은 해야 하는 일을 하기 싫어서 꾀병을 부린 적이 있을 것 같은데요, 꾀병이라는 병이 꾀를 부려서 만든 병인가요? 아니면 실제로 의학 용어에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끝냈다이제잘살아보자
    끝냈다이제잘살아보자

    안녕하세요. 밥이브라운06입니다.

    의학적으로 인정되는 질병은 아닙니다.

    꾀병은 병인 아닌데, 병인 것처럼 행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꾀병은 어린이의 경우 부모의 관심을 끌기 위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외로운침팬지184입니다.

    따로 실체하는 병은아니고 말그대로 핑계되거나 관심받을때 안아픈데 아프다하는 병이에요

  • 안녕하세요. 깍듯한참밀드리134입니다.

    꾀병이라는 단어는 외부적인 이득을 획득하기 위해 과장된 증상을 의도하는 상태를 칭합니다.

    외부적인 이득, 외적 이득 이라는 단어는 환자가 치료를 통해 1차적으로 얻게 되는 의학적 이득과는 다른, 병역의무 회피, 업무 회피, 재정적 보상, 형사상 처벌 모면, 약물 획득과 같이 외부적인 요인과 관련된 이득들을 말할 때 쓰입니다.

    꾀병은 양상에 따라 아예 없는 질환을 꾸며내는 순수한 꾀병, 있는 증상을 과장하거나 사라진 증상을 보고하는 부분적 꾀병, 인과관계가 없는 상황을 증상의 원인으로 탓하는 책임 전가 등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정신과적 진단 체계에 따르면 질환으로 분류되어 있지는 않으며, 임상적 관심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 상태라는 다소 어려운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분명 병은 아니지만 병원에서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는 데다가, 의사-환자 관계의 심각한 손상, 의료자원의 낭비라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주의해서 지켜보자 라는 뜻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꾀병이 의심되는 환자를 볼 때 주로 정신과에서는 증상을 의도해서 나타내나 그 목적이 환자 역할 (sick role) 을 하는 자체인 허위성 장애, 무의식적인 욕구나 스트레스로 인해 의도하지 않은 채 신체증상이 나타나는 전환장애 혹은 신체화 장애 등과 감별하게 됩니다.

  • 꾀병은 일종의 허구적인 존재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꾀병이라는 단어 자체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을 속여 돈을 빼앗거나 이익을 얻으려고 하는 부정한 행위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정한 행위에 대해서는 항상 경계하며, 의심스러운 상황에서는 주변 환경과 함께 정확히 판단하여 대처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