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3대물가인 상품물가 주거물가와 서비스업물가의 흐름과 하반기 전망은 어떻게 되나요?
미국의 3대물라는 상품물가와 주거 서비스업 물가가 있는데요 그런데 그동안 주거물가와 서비스물가가 쉽게떨어지지않아서 문제였는데요
현재 이들 물가들의 흐름 동향과 하반기 전망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석 달 연속 하락하면서 오는 9월 금리 인하 전망이 힘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그동안 CPI 둔화의 발목을 잡아 온 주거비 상승률이 약 3년 만에 최저 수준을 나타내면서 '디스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 둔화)' 국면이 본격화할 것이란 예상이 나옵니다. 과열된 고용 시장도 냉각 조짐을 보이며 월가에서는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9월 피벗(pivot·정책 전환)에 착수해 연내 두 차례 금리를 내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의 주거와 서비스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거 물가는 공급 부족과 높은 모기지 금리로 인해 쉽게 떨어지지 않을 전망이며, 일부 전문가들은 2024년에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하반기에도 주거와 서비스 물가의 완만한 상승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경제 전반에 걸쳐 인플레이션 압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CPI 구성 항목 가운데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거비 상승률이 점차 둔화되기 시작했다는 신호가 나오고 있어요. 지난 CPI 발표에서 주거비는 전월보다 0.2% 올라 2021년 8월 이후 2년10개월 만에 가장 작은 상승폭을 기록했어요.
마찬가지로 소비자 상품 물가도 전월 대비 하락하는 등 점차 물가가 안정화 되고 있다는 신호가 있어서 하반기 흐름도 비슷한 기류로 이어질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3대 물가인 상품, 주거, 서비스업 물가의 흐름과 하반기 전망에 대한 내용입니다.
2024년 하반기 미국의 물가는 상품 가격들이 하락하는 가운데
서비스 부분 물가 상승률도 둔화되는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물가는 세 가지 주요 범주로 나뉩니다. 상품물가, 주거물가, 서비스업물가. 각 범주의 최근 흐름과 하반기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상품물가 (Goods Inflation)
최근 흐름,
완화 추세: 2023년 상반기에는 공급망 문제 해결 및 원자재 가격 안정화로 인해 상품물가 상승세가 둔화되었습니다.
핵심 상품군: 식료품, 의류, 전자제품 등 다양한 상품들의 가격이 안정세를 보였습니다.
하반기 전망,
완만한 상승: 경기 회복과 소비자 수요 증가로 인해 상품물가는 소폭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공급망 영향: 글로벌 공급망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특정 상품군의 가격 변동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주거물가 (Housing Inflation)
최근 흐름,
상승세 지속: 2023년 상반기에는 주택 임대료와 주택 가격 모두 높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수요 공급 불균형: 주택 수요가 여전히 강하지만, 공급 부족 문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하반기 전망,
지속적 상승: 주택 공급이 단기간에 크게 늘어나기 어려운 상황에서, 주거물가는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리 영향: 금리 정책 변화가 주택담보대출 금리에 영향을 미치면서 주택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서비스업물가 (Services Inflation)
최근 흐름,
꾸준한 상승: 2023년 상반기 동안 서비스업 물가는 계속해서 상승했습니다. 특히, 여행, 외식, 의료 서비스 등에서 두드러졌습니다.
노동 비용 상승: 인건비 증가가 서비스업물가 상승의 주요 요인 중 하나였습니다.
하반기 전망,
계속된 상승: 서비스업 부문은 노동 시장의 타이트함과 연관되어 있어, 서비스업물가가 계속해서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수요 증가: 경제 회복과 함께 서비스 수요가 늘어나면서 가격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