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한알쌍7214
한알쌍721423.04.12

쑨원의 삼민주의를 주장했는데 민주주의와 같지 않을까요?

쑨원 관련 책을 읽어보는데

외국에서 혁명을 일으킬 기회를 접한 쑨원은 혁명의 기본사상으로 '삼민주의'를 주장하였어요.

주장한 것은 민주주의와 같지 않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쑨원의 삼민주의는 당시 청나라의 부패가 심각했고 그 와중에 외부 나라의 공격또한 심각하여 자국과 자국민들을 위할수 있는 정치 이론이 필요하다하여 쑨원에 의해 생겨난 이론입니다.

    삼민주의는 민족주의, 민권주의, 민생주의가 있는데요.

    민족주의는 우리가 익히 아는 이론으로 단일 민족인 국민들끼리 똘똘뭉쳐야한다는 주장이었고

    민권주의는 독재나 왕의 나라가 아닌 백성들이 추천한 사람이 의회를 통해 정책을 만드는 지금의 민주주의 느낌과 유사한 주장이었고

    민생주의는 백성들을 위한 권리와 의무를 나라가 알려줘 백성이 잘되게 하는 이론이었습니다.

    내용만 봤을때는 삼민주의에 속한 민권주의가 민주주의와 비슷한 결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당시 중국 군벌세력에 밀려 뜻을 이루지 못했고 심민주의역시 공산주의를 포함하여 발전이 되버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민주의(중국어 정체자: 三民主義 산민주이)는 쑨원이 발표한 초기 중화민국 정치

    강령으로, 민족주의(民族主義), 민권주의(民權主義), 민생주의(民生主義)를 뜻한다.

    삼민주의는 건국 초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화민국 정치 사상이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쑨원은 1912년 청나라를 전복하고 중화민국을 수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중국의 혁명적 지도자이자 정치가입니다. 쑨원의 삼민주의는 민주주의와 유사한 점이 있지만, 민주주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습니다. 민족주의와 민생은 민주주의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여겨졌지만, 삼민주의에는 중국의 문화적, 역사적 맥락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쑨원(손문)의 삼민주의는 민족주의와 민권주의 그리고 민생주의를 주장한 것으로 외세의 간섭이 없는 정치와 경제적인 측면 민족을 중심으로하는 국민혁명을 주장하고 국민의 권리를 주장하는 보통선거제의 민권주의와 토지보상제에 입각한 민생주의를 강조한 것으로 민주주의와 합치되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