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영양제 이미지
영양제약·영양제
영양제 이미지
영양제약·영양제
반가운테리어79
반가운테리어7922.09.14

이소티논 & 스킨b5 함께 복용해도 되나요?

나이
23
성별
여성

이소티논(피지조절제)과


스킨b5라는 여드름 영양제를


함께 복용해도 되나요??


혹시 동시복용이 안된다면,

이소티논은 4일 주기로 먹을건데

이소티논 안 먹는 다른 날에는 스킨b5를 먹어도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이소티논(피지조절제)과 스킨b5라는 여드름 영양제는 서로 성분이 중복되거나 상호작용이 있지 않기에 동시에 복용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이소티논은 이소트레티노인이 함유된 피지조절제로 여드름치료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약은 비타민A 유도체이기 때문에 영양제 중 비타민A정도만 주의하시면 됩니다.

    스킨b5는 비타민B5가 주로 함유되어있는데, 비타민B5는 이소티논과 같이 먹어도 문제되지 않습니다.

    시간차이 두실 필요 없이 같이 드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말씀하신 이소티논과 스킨b5는 서로 상호작용이 있거나 이소티논 약효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기를 나눠 드실 필요가 없으며 모두 같이 드시더라도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이소티논을 드시면서 스킨b5를 같이 드셔도 괜찬습니다.

    스킨b5는 비타민 b군으로 주성분은 비타민b5인 판토텐산으로 드셔도 괜찬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스킨B5는 비타민B군이므로 이소티논과 같이 드셔도 상관없습니다. 이소티논을 4일 주기로 먹는건 큰 효과가 없을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이소티논연질캡슐<이소트레티노인 10mg>

    1) 비타민 A와의 병용은 비타민 A 과다증을 증강시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2) 테트라사이클린류와 병용시 가성뇌종양이 보고되었으므로, 이 약과의 병용투여는 금기이다.
    3) 소량의 프로게스테론 제제(에스트로겐을 함유하지 않은 단일 경구용 피임제)는 이 약과의 상호작용으로 효과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병용투여하지 않는다.
    4) 카르바마제핀은 이 약과 병용시 효과가 증강될 수 있다.
    5) 페니토인, 전신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이 약의 골손실에 대한 상호작용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페니토인은 골연화증을, 전신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골다공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들과 병용시 주의한다.
    6) 호르몬 피임제와 상호작용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St. John's wort 허브 보급제로 자가 치료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스킨B5와는 상호작용하지 않으므로 같이 복용하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비타민B5는 판토텐산으로 피지조절효과가 있어서 여드름에 주로 먹습니다. 이소티논과 같이 드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이소티논과 스킨B5는 같이 드셔도 상관없어요.

    스킨B5는 판토텐산이 고함량으로 들어있는 영양제일텐데 이소티논과 상호작용이 없어요.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이소티논을 복용하시는 도중에는 안먹는 날이어도 비타민A는 드시지 마세요. 같이 드시면 안됩니다.

    여드름은 식이습관과 호르몬 불균형, 스트레스로 인한 피지분비 증가 등이 원인이 되어 피지 분비와 세균증식이 원인 입니다. 피지분비 억제와 항생제로 효과가 있지만 앞에 쓴 근본적인 원인이 해결이 되야합니다.

    식이는 주로 우유, 과도한 동물성 단백, 고당분, 밀가루 등을 자주시고 장누수증후군이 있으신 분들이 주로 그렇습니다. 해당되신다면 고당분과 밀가루만 제한해주셔도 효과볼겁니다. 유산균 하나정도는 필수이고요.

    호르몬 불균형이시라면 보통 월경시작하고, 또는 배란기에 여드름이 증가합니다. 평소에 십자화과 채소(브로콜리 등) 섭취를 권장합니다. 안에 있는 i3c나 DIM성분들이 에스트로겐 대사를 조절할겁니다. 식물성 폴리페놀류가 들어있는 영양제로 대체 가능합니다. isoflavone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는 평소 조절이 어렵습니다. 그나마 도움이 될만한 것은 부신피로에 도움이 될만한 판토텐산 고함량들어 있는 비타민B군, 마그네슘, 비타민C, 테아닌, 홍경천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