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3.02.12

까치는 우리역사에서 길조가 된 이유가 뭘까요?

아주오랜 조상때부터 까치는 길조라고 대접을 해주면서 까치만 보면 오늘 반기운 손님이 온다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까치가 왜 좋은일을 나타내는 길조가 되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마을어귀의 높은 나무에 둥지를

    틀고 사는 까치는 후각이 뛰어나고

    매우 조심스러운 새입니다.

    해서 마을 사람들의 냄새를 기억하는

    까치가 마을에 낯선 사람이 나타나면

    경계로 울음을 운다고 합니다.

    즉 마을에 손님이 온다는 표시라고

    생각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유사 신라 소지왕 설화에서 유래 되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신라 소지왕 때 왕후가 승려와 내통해 왕을 죽이려는 음모를 꾸몄으니 왕이 까치와 쥐, 돼지,용의 도움을 받아 목숨을 구했다 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리고 쥐, 돼지, 용은 십이지에 들어가는 동물이라 그 공을 인정 받았지만 까치는 여기서 제외돼 이를 안타깝게 여긴 소지왕 긴 설 전날을 까치의 날로 정해 까리를 기념하는 날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꼭 까치 설이 아니더라도 까치는 우리에게 매우 친근한 새 입니다.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 라는 말도 있고 설화 은혜를 갚은 까치에서 처럼 길조로 여겨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