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임대인이 간이과세자에서 일반사업자로 전환되었을때, 임차인에게 부가세 관련 계약 내용 수정을 마음대로 할 수 있나요?
계약서 용도에 주거용으로 명시가 되어있는 원룸에 사는 임차인입니다.
건물의 분류가 고시원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올해 3월에 새 계약서를 작성한 상태입니다.
임대인이 공시지가가 올라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전환되었으니, 부가세를 임차인에게 부과해야한다고 합니다.
사전에 일반과세자 전환을 알지도 못했고, 이미 계약서를 작성한 이후에 통보를 받으며 월세의 10%인 45,000원을 더 내거나, 올해 증액의 3만원을 인정해줄테니 15,000을 그냥 더 내라는 주장을 10여차례 지속적으로 합니다.
학생이라 종합소득세 환급 대상이 아니기도 하고, 월세를 일방적으로 계약 기간 내에 증액하는건 부당하다는 게 제 입장입니다.
계약서를 수정해서, 부가세 45,000원을 임차인이 내는 내용을 기입해야한다고 하며, 안 내면 보증금에서 감할 수밖에 없다는 게 임대인 주장입니다.
계약서에 부가세에 관한 내용이 현재 명시되어 있지 않은데, 세무법상 계약서 수정후 부가세를 임차인이 부담하는게 맞는 지 궁금합니다.
법적으로 계약서에 명시된 기간동안 계약서에 명시된 금액만 내도 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기재하신 내용 모두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임대차계약서상의 임차료만 지불하시면 됩니다. 만약, 임대인이 임의적으로 부가가치세를 강제로 징수할 경우, 소송 등을 통해서 100% 다시 돌려받을 수는 있지만, 해당 행위들도 시간과 정신적인 비용이 드는 문제이긴 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