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슬기로운줄나비104
슬기로운줄나비10423.08.09

상장되어 있는 기업 or 상장될 기업이 적자를 기록하는데 상장을 유지하거나 할수 있는 이유는?

상장되는 기업이나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 보면

계속해서 적자를 내고 있는 경우가 꽤 흔한데 이게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적자를 내도 제재는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장기업들이 적자를 지속적으로 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장을 유지하거나 혹은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은 유상증자를 통해서 자금을 마련하거나 혹은 이런 적자가 사실은 재무제표상에서 퇴직금지급이나 감가상각비로 인해서 발생한 '현금흐름이 음수가 아닌' 손실이 발생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장기업의 경우에는 2년연속 당기순솔실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상장적격성 실질심사의 대상에 포함될 수 있지만 특례상장을 한 경우에는 특정기간동안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유예를 받는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장기업이 적자라도 보유 현금이나자산이 많으 경우 유지할 수있으며, 또한, 운영자금이 부족할 경우 유상증자로 추가 자본금을 마련하여 회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장사는 5년연속 적자 시 상폐사유인걸로 알고 있구요 적자 계속 나도 자본잠식 아니면 버틸만 한게 회사죵!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적자가 지속되고 3년 이상 자기자본 50% 이상을

    잠식당하는 등 한다면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