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자린고비56379
자린고비56379

망원경의 확대 원리 문의드립니다

망원경의 원리 문의 드립니다.

망원경은 2개의 렌즈를 통해서 대상체를 확대하여 볼 수 있는데요. 어떤 원리로 저 먼곳에 있는 물체까지 볼 수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공정한백로247
    공정한백로247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대표적으로 굴절 망원경이 있습니다. 이는 빛의 굴절 현상을 이용합니다. 대물렌즈와 대안렌즈로 되어 있는데요 대물렌즈에 의해서 만들어진 형태가 대안렌즈에 의해서 확대되어 보이는 원리입니다. 이 때 빛의 굴절이 이용됩니다.

  • 망원경은 대물렌즈나 반사거울을 이용하여 물체로부터 나오는 빛을 모아 상을 만들고, 이 상을 아이피스(접안렌즈)로 확대해서 실제보다 크게 보이도록 하는 기구이다. 대물렌즈가 크면 클수록 물체로부터 나오는 빛을 많이 받게 되므로 상의 밝기가 증가한다.

    출처 : http://www.byulbee.com/star/telesc02.htm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망원경도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대물렌즈는 물체의 상을 만들고 접안렌즈로 만들어진 상을 확대하여 보게 됩니다.

    대물렌즈의 크기는 상의 밝기를 좌우하게 됩니다. 즉 대물렌즈가 크면 클수록 어두운 피사체도 밝게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상은 원리적으로 항상 대물렌즈의 초점상에 맺히게 되기 때문대물렌즈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의 크기가 크면서, 접안렌즈의 초점거리가 짧으면 짧을수록 물체를 크게 확대시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먼 곳에 있는 물체에 대해 더 크고 밝은 상을 만들어 더 잘 볼 수 있게 해주는, 렌즈나 거울을 조합하여 만든 광학 기기이다. 멀리 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이유는 첫째, 눈의 망막에 생기는 상이 작고, 둘째, 눈의 동공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적어 상이 어둡기 때문이다. 망원경은 지름이 크고, 초점거리가 긴 렌즈나 거울을 써서 더 크고, 더 밝은 상을 만들어 보여준다.

  • 안녕하세요. 렌즈의 개수는 여러개일 수도 있습니다.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는 아실겁니다. 보통 물체의 상이 볼록렌즈에 의해서 확대되어서 보이게 됩니다.

  • 망원경은 렌즈, 반사거울 등을 이용하여 물체로부터 나오는 빛을 모아 상을 만들고,

    이 상을 접안렌즈로 확대하여 실제보다 크게 보이도록 합니다.

    즉, 빛이 모이기 때문에 확대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