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8.17

망원경을 통해 먼곳까지 볼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보통 멀리 있는 곳을 관측하거나 볼 때는 주로 망원경을 이용하는데요

이 망원경을 렌즈에 따라 고배율, 저배율로 나눌수 있는데...

정확히 어떤 원리에 의해 먼 곳을 볼 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한다면 망원경은 렌즈, 반사거울 등을 이용하여 물체로부터 나오는 빛을 모아 상을 만들고,

    이 상을 접안렌즈로 확대하여 실제보다 크게 보이도록 합니다.

    최초의 망원경은 1608년 네덜란드의 한스 리퍼세이가 만들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망원경의 원리는 빛을 모아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이용하여 상을 확대하는 것이죠. 볼록렌즈는 확대해주는 특징을 지녔고, 오목렌즈는 확대된 빛을 모아 우리눈에 들어오게 끔 해줍니다. 즉, 볼록렌즈로 빛을 퍼뜨려 상을 확대시킨 뒤 이 빛을 오목렌즈로 받아 우리눈에 초점이 맺히게끔 해줍니다. 그래서 확대된 상을 볼 수 있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망원경은 렌즈 시스템을 사용하여 빛을 수집하고 집중시킵니다. 망원경에는 두 개 이상의 렌즈가 있으며, 이 렌즈들은 빛을 굴절시켜 물체를 확대하고 선명하게 보이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광학망원경은 멀리서부터 오는 빛을 수집하여 볼 수 있게 하는 장치로 빛을 수집하는 방법은 보통 렌즈와 반사경을 이용하는 것이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망원경은 빛을 모아서 확대하는 원리로 먼 곳을 볼 수 있습니다. 망원경의 대물렌즈는 빛을 모아서 초점을 맞추고, 접안렌즈는 이 초점을 확대해서 눈으로 볼 수 있게 합니다. 망원경의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은 빛을 모을 수 있고, 더 먼 곳을 볼 수 있습니다.

    망원경은 천체 관측에 많이 사용됩니다. 천체는 매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볼 수 없습니다. 망원경을 사용하면 천체를 확대해서 볼 수 있고, 그 구조와 특징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망원경은 빛을 모아서 상을 확대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망원경의 배율은 대물렌즈의 구경과 접안렌즈의 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대물렌즈의 구경이 클수록, 접안렌즈의 거리가 멀수록 배율이 높아집니다. 배율이 높을수록 멀리 있는 물체를 더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망원경은 먼 물체를 가깝게 보이게 해주는 광학 기기입니다. 망원경의 작동 원리는 주로 렌즈의 굴절과 수렴에 기반합니다. 망원경은 두 개의 렌즈(물체 렌즈와 눈 렌즈)를 조합하여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가깝게 보이게 합니다. 다음은 망원경의 작동 원리와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입니다:

    1. 물체 렌즈 (목표 렌즈): 망원경의 앞쪽에 위치한 렌즈로, 먼 물체의 빛을 모아 초점을 맞춥니다. 물체 렌즈는 큰 크기와 짧은 초점 거리를 갖는 특징을 가지며, 이로써 들어오는 볼록한 빛을 집중시켜 이미지를 만듭니다.

    2. 눈 렌즈 (아이피스): 망원경의 뒷쪽에 위치한 렌즈로, 이미지를 확대하고 눈에 맞게 조절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눈 렌즈는 먼 물체로부터 나오는 평행한 빛을 수렴시켜 눈에 들어오도록 만듭니다.

    3. 확대 및 조절: 망원경의 렌즈 간격을 조절하거나 렌즈의 크기와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이미지를 확대하고 조절할 수 있습니다. 망원경의 확대율은 물체 렌즈의 초점 거리와 눈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망원경을 사용하면, 물체 렌즈가 들어오는 빛을 집중시켜 작은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눈 렌즈가 이 작은 이미지를 확대하여 눈에 보이게 합니다. 이렇게 망원경은 먼 물체의 작은 세부 사항이나 거리를 보다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게 해주는데, 이는 렌즈의 굴절과 초점 거리 조절의 원리를 활용한 결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망원경에는 렌즈가 들어있어 빛의 진행경로를 변경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되면 먼곳에서 날아오는 빛의 초점을 한곳으로 모아주기 때문에 마치 가까이 있는듯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즉, 먼곳의 모습이 가깝게 잘 볼 수 있게 하는 장치입니다.


  • 망원경은 먼 거리에 있는 물체를 가까이서 보기 위한 광학 기기입니다. 망원경을 통해 먼 곳까지 볼 수 있는 원리는 광학적 원리에 기반하며, 주로 두 가지 주요 요소가 작용합니다.

    1. 렌즈 시스템: 망원경은 복수의 렌즈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렌즈 시스템은 빛을 수집하고 집중시켜 물체의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망원경에는 주로 오브젝티브 렌즈와 아이피스 렌즈가 사용됩니다. 오브젝티브 렌즈는 먼 물체의 빛을 수집하고 초점을 맞추어 작은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아이피스 렌즈는 오브젝티브 렌즈에서 형성된 이미지를 크게 확대하여 사용자의 눈에 보여줍니다.

    2. 확대 기능: 망원경은 주로 물체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확대 기능은 주로 아이피스 렌즈의 도움을 받아 구현됩니다. 아이피스 렌즈의 작용으로 이미지가 더 크게 보여지기 때문에 먼 거리에 있는 물체를 더 자세하게 볼 수 있게 됩니다. 확대 비율은 망원경의 설계와 사용되는 렌즈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망원경은 이렇게 광학 시스템을 통해 먼 거리에 있는 물체를 가까이서 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렌즈의 굴절과 초점 조절을 통해 작은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를 확대하여 물체의 세부 정보를 눈에 잘 보이도록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19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망원경은 고배율 망원경과 저배율 망원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확대율에 따라 구분됩니다. 고배율 망원경은 더욱 세밀하고 작은 세부사항을 살펴보기 위해 사용되며, 대상물이 작고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유용합니다. 이러한 망원경은 더 작은 렌즈와 큰 초점 거리를 사용하므로, 더 강한 광학적인 확대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런 고배율 망원경의 특징은 선명도와 해상도가 높아지며, 작은 물체와 세부사항을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반면에, 저배율 망원경은 대상물을 넓게 보기 위해 사용됩니다. 대상물이 크고 근거리에 있을 때 주로 사용되며, 보다 넓은 시야를 제공하기 때문에 대상을 확실히 식별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러한 망원경은 더 넓은 렌즈와 초점 거리를 사용하므로, 더 적은 광학적인 확대가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망원경의 렌즈와 굴절 원리를 활용하여 작은 이미지를 크게 확대하고 선명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망원경의 핵심 원리라고 할 수 있는데요..

    망원경에는 먼 거리에 있는 물체의 빛을 수집하여 한 지점에 집중시키는 수렴 렌즈라는게 있구요

    이 수렴 렌즈는 빛을 수집하고 집중시켜 작은 이미지를 만들어 냅니다.

    또하나의 렌즈가 안경렌즈라는 것인데요

    수렴 렌즈로 만들어진 작은 이미지는 안경 렌즈에 의해 확대된답니다.

    우리가 시력이 안 좋을때 크게 잘 보이게 하는 렌즈로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안경 렌즈는 이미지를 더 크게 만들어 줌으로써 작은 물체나 먼 거리의 물체도 더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된답니다.

    또한, 렌즈는 빛을 굴절시켜 이미지를 확대하고, 빛이 렌즈를 지나갈 때 렌즈 안쪽으로 굴절되어

    이미지가 크게 보이게 해 준답니다.

    이렇게...망원경은 크게 2개의 렌즈와 빛의 굴절 현상을 이용하여 멀리있는 것을 잘 보이게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