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냉철한말
냉철한말

차가운 걸 먹으면 두통이 오는데 건강에 지장없나요?

예전엔 여름만 되면 분식집에서 팥빙수 많이 먹었었는데요. 첫 수저를 뜨는 순간 머리에 전율이 옵니다. 왜ㅈ그런건지, 그리고 반복되면 건강에 좋지 않은건 아닌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탕한개미핥기272
      호탕한개미핥기272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찬 물을 빠르게 마시거나, 슬러쉬, 얼음, 아이스크림을 먹게되면 가끔 머리가 띵한 경험을 하셨을 겁니다.

      찬 물질이 입에 들어오고 그 냉기로인해 모세혈관에서 열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수축하는 반응이 일어납니다. 그리고 다시 이완하는데, 이 때 얼굴에 분포해 있는 뇌의 신경이 자극을 받기 때문에 머리가 띵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갑작스런 자극에 의한 일시적인 두통현상입니다. 큰 문제가 되진 않지만 작은 자극에도 두통이 온다면 병원 진료를 받아야합니다. 보통 순간적으로 대량의 차가운 음식을 섭취했을때 발생합니다. 한 숟갈로 발생했다면 문제가 있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찬 물질이 입 천장에 닿으면 입 천장의 모세혈관이 열을 뺏기지 않으려고 수축하게 됩니다.

      소중한 뇌를 지키기 위해 뇌로 피를 많이 보내게 되죠.

      그러면 두개골 안 의 뇌는 팽창하고 그럼 압력이 증가해 머리가 아프게 됩니다.

      보통 이러한 찬 음식에 의한 두통은 보통 1~5분 이내에 완화되며 몸에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여러 의학쪽 교수들의 의견은 "두통이 오래 지속되거나 과거에 없다가 최근 심해졌다면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하는 의견이 많이 있습니다.

    • 순간적으로 찬 물질이 입에 닿게 되면 입 천장의 모세혈관이 열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수축을 하게 됩니다.

      그 결과 뇌를 지키기 위해 뇌로 피를 많이 보내게 되는데,

      이 혈액에 의해 뇌가 팽창하게 되고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 압력이 우리가 느끼는 띵 하는 느낌입니다.

      갑작스러운 압력이 계속 반복되면 뇌졸증이 올 수 있으니 찬 것을 먹을 땐 천천히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