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세계 참치어획량은 어디서 정하는 건가요?

이상기온으로 이제 한국에서도 참다랑어가 굉장히 많이 잡히지만, 국제 어획량 할당으로 인하여 그냥 버려지는 양이 많다더군요. 그렇다면 참치의 어획제한량은 어디서 정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꽃을 든 AI 콜롬보
      꽃을 든 AI 콜롬보

      안녕하세요. 꽃을 든 AI 콜롬보입니다.

      세계 참치 어획량은 지역 어업 관리 기구(RFMO)에서 정합니다. RFMO는 참치와 같은 특정 어종의 지속 가능한 관리를 담당하는 정부 간 기구입니다. 각 RFMO는 해당 지역의 참치 어획량을 결정하기 위해 과학적 조언과 이해 관계자의 의견을 고려합니다.

      참치는 세계적으로 이동하는 어종이므로, 참치 어획량은 국제기구에서 결정합니다.

      주로 5개의 지역수산관리기구(RFMO)가 세계 참치 어획량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세계에는 5개의 주요 RFMO가 있습니다.

      - 중서부태평양 수산위원회(WCPFC): 중서부태평양에서 참치자원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국제기구입니다. 우리나라, 미국, 일본, 중국, 유럽연합 등이 회원국입니다.

      - 전미열대참치위원회(IATTC): 동부태평양에서 참치자원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국제기구입니다. 우리나라, 미국, 일본, 멕시코, 유럽연합 등이 회원국입니다.

      - 대서양참치보존위원회(ICCAT): 대서양에서 참치자원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국제기구입니다. 우리나라, 미국, 일본, 유럽연합 등이 회원국입니다.

      - 남방참치보존위원회(CCSBT):남반구에서 남방참치자원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국제기구입니다. 우리나라, 일본, 호주, 뉴질랜드, 유럽연합 등이 회원국입니다.

      - 인도양참치위원회(IOTC): 인도양에서 참치자원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국제기구입니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 유럽연합 등이 회원국입니다.

      이러한 RFMO는 참치 어획량을 설정하는 것 외에도 참치 어획을 규제하고 참치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기타 조치를 취합니다.

      각 지역수산관리기구에서는 과학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참치자원의 상태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참치 어획량을 결정합니다. 또한, 회원국들은 각 지역수산관리기구에서 결정한 참치 어획량을 준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