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쾌활한이구아나273
쾌활한이구아나27321.11.23

얼음이 얼어가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물이 0도에서 얼잖나요?

근데 얼면서 부피가 팽창하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보통 엑체에서 고체가 되면 부피가 줄어들잖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거북이놔두루미입니다.

    얼음이 생기는 비밀은 바로 이 느슨한 구조에 숨어 있다. 온도가 내려가면 물분자의 결합구조가 변하면서 얼음의 상태와 비슷해진다. 그러다 '빙정'이라 불리는 조그만 얼음 씨앗이 생겨나면 그 주변의 물분자도 결합구조가 변하면서 얼기 시작한다.


  • 안녕하세요. 주씨먹는하마입니다.

    물은 다른 액체들과는 달리 수소결합이라는 결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 수소결합에 의해 물이 얼면서 얼음이 될 때 부피가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육각형의 규칙적인 구조를 형성하며 부피가 증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reory입니다.

    네 맞습니다. 하지만, 물만 예외입니다. 예를 들어 양초 같은것은 고체상태에서 불을 피우고 나면 파인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말은 액체에서 고체로 가면서 부피가 줄어든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다 이렇지만 물은 패트병을 냉동실에 두면 크게 팽창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수소결합 때문입니다. 물은 액체에서 고체가 될때 일반적인 결합과 달리 서로 육각형의 안정한 구조를 만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피가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