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체크포인트 !!
체크포인트 !!22.04.28

전세계적 고인플레이션에대한 해결방안?

현재.전세계적으로 물가가 급등하고있습니다

다들 해결방안은 금리를 올려야 된다고 하는데

금리상승은 이자부담이 워낙커져서 담보대출을

사용하는,분들에게는,큰 부담이 아닐수,없습니다

이런 고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정녕 해결방안이

금리를 올리는것 밖엔 없는지 다른 .방법은 .없는지

많이,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리는 것 말고는 떠오르는 것이 없네요. 아마 있다면 정부에서 할 것입니다.

    물론 정부를 신뢰하지 않으신다면 어쩔 수 없겠지만요. 게다가 한국은 미국의 금리를 따라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나라가 뭘 어떻게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5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정부는 재정지출을 줄여 총수요를 직접적으로 줄이거나 공공요금 인상을 억제하여 물가상승폭을 줄일 수 있다. 또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통화량을 줄이는 정책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 말씀처럼 금리 인상은 인위적으로 시중에 푼 유동성 회수와 물가 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 중에 하나 입니다.

    금리 인상은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 되어 시중 유동성 회전을 감소시킵니다. 아울러 소비와 투자를 위축 시켜 자산 가격 상승도 제어합니다. 이를 통해 물가상승을 일부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합니다. 그러나 금번 물가 상승의 원인은 수 년째 이어지고 있는 공급망 경색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에 기인합니다. 생활 필수품에 해당되는 에너지 가격과 식료품 등 생필품들이라 금리 인상으로 제어하기 힘든 부분도 있습니다.

    결국 금번 글로벌 물가 상승은 기존 금리 인상과 긴축에 더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전쟁 등의 종식이 따라줘야 가능할 듯합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 말씀 드립니다.


  • 코로나 장기여파로 시중에 유통되는 자금등 인플레이션 경제현상으로 금리인상등을 단행하고 있는데,,여기에 우쿠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이슈로 인한 원유가격 상승 및 곡물가격 상승등으로 스태크플레이션 현상등이 발생되고 있습니다..금리인상은 대출등 이자부담이 커지는등 빈부의 격차가 심해지는 현상도 발생되기에 무작정 한없이 올릴수는 없으며,,또한 이번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현상은 코로나여파에 전쟁등 이슈가 더해져 생긴것으로 근본적인 해결책은 전쟁등이 하루속히 종전이 되어야 할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