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적 표현중에 '요단강을 건너다'라는 표현은 어디서 온 표현일까요?
흔히들 나이가 들어서 사람이 죽음을 맞이하게되는 시점에
요단강을 건너다라는 말이 있던데, 이러한 문학적 표현중에 '요단강을 건너다'라는 표현은 어디서 온 표현일까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말 그대로 요단강(요르단 강)을 건넌다는 뜻입니다다. 그리스도교와 관련된 표현으로 죽음을 의미합니다.
그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스도교와 관련된 표현이지만 의외로 유럽/미국에서는 쓰이지 않는 말이라고 한다. 아래에 나온 찬송가들을 주로 누군가가 죽었을 때 불렀기 때문에 이런 의미가 형성된 것 같다.
성경에 등장하는 '요단강을 건넌다'는 것은 "약속된 축복의 땅으로 들어간다 "는 의미이며 그 구체적인 지명은 가나안 지역으로 들어간다는 뜻이다. 가나안 지역은 이스라엘인의 시조인 아브라함이 야훼의 명을 쫒아 정착했던 곳이며 야훼로부터 그의 후손들에게 주겠다는 약속받은 땅이기도 하다. 이후 그의 후손들은 이집트로 이주해 노예가 되었다가 모세의 인도하에 다시 가나안으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요단강을 건너야 했고, 성경에 기록된 가나안은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표현되고 있기에 "요단강을 건너다 = 약속된 축복의 땅(가나안)으로 들어간다"는 의미가 된다. 그리고 구약에서 낙원으로 묘사된 곳이 가나안이라면 신약에서는 새롭게 천국이 주어졌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요단강을 건너다 = 약속된 축복의 땅으로 들어간다 = 가나안으로 들어간다(구약) = 천국에 들어간다(신약)"로 논리가 확장된다. 그러나 문제는 일반적으로 천국은 죽은 다음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다보니 찬송가 가사에서 '요단강 건너가 만나리' 하는 말은 (노래 부르는 사람에게도 복된 곳인) 천국에 가서 (죽은 자와) 만난다는 의미다. 여기서 요단강 건너다(=죽다)라는 관용구가 나왔다. 단, 해석은 한글본 찬송가를 가지고 풀이한 것이다. 원전이 될 영문판 찬송가 가사에는 요단강에 대한 언급이 아예 없다.
구약성경에서 이스라엘인 1세대가 요르단 강을 건너지 못하고 죽고 2세대들이나 넘어갔다는 구절에서 '1세대가 모두 죽었다' 는 점에 착안, 거기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사람도 있으나 사실이 아니다. 흔히 말하는 '요단강 건넌다' 하는 표현에서는 '요단강을 건넌 사람=죽은 사람' 이기 때문. 즉 찬송가 가사에서 비유한 요단강 건너편(천국)을 염두에 두어야 말이 풀리지 '이스라엘인 1세대가 죽었다' 로 해석하면 용례가 맞지 않는다.
다만 아래에 제시된 가스펠곡 커티스 메이필드와 제프 벡도 연주한 곡 People get ready의 가사를 보면, 기독교인들이 죽기 전 하나님의 은총을 받아 천국에 갈 준비가 되었다고 얘기하는 내용인데, 여기서 천국을 요르단으로 간다고 묘사했다고 볼 여지가 있다.출처: 나무위키 요단강을 건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경에 등장하는 요단강을 건넌다는 것은 약속된 축복의 땅으로 들어간다는 의미로 구체적인 지명은 가나안 지역으로 들어간다는 것으로 이 지역은 이스라엘인의 시조인 아브라함이 야훼의 명을 쫓아 정착한 곳이며 야훼로부터 그의 후손들에게 주겠다는 약속받은 땅입니다.
이후 그의 후손들은 이집트로 이주해 노예가 되었다가 모세의 인도하에 다시 가나안으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요단강을 건너야했고 성경에 기록된 가나안은 젖과 꿀이 흐는 땅으로 표현되어 요단강을 건너다는 약속된 축복의 땅으로 들어간다는 의미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요단강을 건너다'는 말이 구약성서에서 유래해서
사람이 죽는다는 의미가 있고
로마제국 카이사르(시저)의 고사에서 유래한
'루비콘 강을 건너다'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이제는 돌이킬 수 없는 국면으로 접어들다, 취소할 수 없는 선택을 해 버리다' 라는 뜻으로
마지막을 의미하는 말이라고 이해 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요단강을 건너다'라는 표현은 기독교 성경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 표현은 원래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기 위해 요단강을 건넜던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 표현은 '죽음을 맞이하다' 또는 '인생의 다음 단계로 나아가다'라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이는 요단강이 신앙적으로 '지상의 세상'과 '영원한 생명의 세상'을 구분하는 경계선으로 여겨져 왔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요단강을 건너다'라는 표현은 종종 인간의 죽음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표현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죽음을 겁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새로운 시작이나 다음 단계로 바라보는 긍정적인 시각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경에 등장하는 '요단강을 건넌다'는 것은 "약속된 축복의 땅으로 들어간다 "는 의미이며 그 구체적인 지명은 가나안 지역으로 들어간다는 뜻이다. 가나안 지역은 이스라엘인의 시조인 아브라함이 야훼의 명을 쫒아 정착했던 곳이며 야훼로부터 그의 후손들에게 주겠다는 약속받은 땅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