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아시아·태평양의 'AI 허브' 가 될 수 있을까요?
한국이 아시아·태평양의 AI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이재명 대통령은 뉴욕에서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을 만나 협력 약속을 받았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블랙록은 AI 산업의 글로벌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으며, 이는 한국이 블랙록이 주도하는 글로벌 AI 인프라 네트워크에 본격 진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MOU의 핵심은 재생에너지 기반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를 한국에 세우는 것으로, 이를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수요를 책임지는 데이터 허브로 자리 잡겠다는 구상인데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의 아시아의 AI 허브가 될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어느 정도 가능성은 있는 것이 한국에는
반도체 기술도 있고 IT 기술력도 있기에
가능하다고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이 인공지능의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인 노력과 함께 재생에너지 기반 AI 데이터센터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재명 대통령과 블랙록의 협력은 단순한 투자 유치를 넘어 한국이 글로벌 AI 생태계의 핵심 노드로 인정받았음을 의미하며, 이는 한국의 AI 허브 도약에 있어 결정적인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보이며 구체적으로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운용자산 10조 달러 이상)인 블랙록과의 협력은 자본력과 글로벌 네트워크 접근이라는 두 가지 핵심 자원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한국이 세계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와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은 이미 검증된 기반이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 기술은 AI 시대의 핵심 자원에 대한 직접적 접근권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지리적 전략적 위치도 간과할 수 없는 장점으로 보이며 한국은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를 연결하는 요충지에 위치해 있어 아시아와 태평양 전체를 아우르는 데이터 허브 역할을 수행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해저 케이블 네트워크의 중심지로서 낮은 지연시간과 높은 연결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더 나아가 제조업과 IT의 융합 역량은 한국만의 독특한 강점입니다. 자동차, 조선, 철강, 화학 등 전통 제조업이 강하면서 동시에 IT 기술도 선진화되어 있어, 산업 AI 분야에서 다른 나라가 쉽게 따라할 수 없는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은 AI 아시아 허브국가로서 충분히 역량을 갖고 있다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반도체 인프라, 통신망, 인공지능 인재 역량 측면에서 경쟁력이 높습니다.
블랙록과의 협력 및 재생에너지 기반 데이터 구축은 글로벌, AI네트워크 진입 신호입니다.
정부의 규제 완화와 민간 투자 활성화가 병행된다면 아시아 AI허브 실현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