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09.28

대동여지도는 조선의 경계 정비와 국토 관리에 어떤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나요?

대동여지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주요한 지리적 특징과 요소를 어떻게 표현하였나요? 이 지도가 당시 조선의 경계 정비와 국토 관리에 어떤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동여지도는 근대 이전의 한반도에서 나온 최고로 자세한 지도이며 현재의 지리적 특징을 아주 자세하게 표현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도의 각 첩에는 한면은 동서 80리, 남북 120리를 포괄하며 해안선 도서, 산과 하천의 지형, 지방 군현 등이 실제와 거의 유사하게 그려져있습니다.

    지도의 제 1첩에는 방안표, 범례인 지도표와 지도유설, 경도오부지도 등과 함께 조선의 최북단인 온성, 종성, 경원, 일대의 지도가 수록되어있습니다.

    각 군현간을 잇는 도로에는 10리마다 방점이 찍혀 있어 군현간 거리 측정이 가능하며 각 군현 안에 영아, 읍치, 성지, 진보, 창고, 목소, 봉수, 능침, 방리, 고현, 고진보, 고산성, 도로 등이 표시되어있습니다.

    대동여지도는 실용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므로 이동하며 장사를 해야 했던 상인들이 많이 사용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동여지도는 조선 시대 중기인 19세기에 만들어진 지도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지리 정보 제공, 행정 및 군사 목적, 역사적 가치를 가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동여지도는 고산자 김정호가 1861년 제작한 한반도 지도이며 지도첩입니다. 3건이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2008년에는 대동여지도 목판이 대한민국 제158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근대적 측량이 나오기 이전에 제작된 한반도 지도 중 가장 정확한 지도입니다. 김정호가 제작한 세 지도 대동여지도와 청구도 동여도를 비교해보면 청구도가 필사본이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오류를 막으려고 대동여지도는 목판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대동여지도의 주기의 수는 청구도의 15485개에서 13188개로 2297개가 줄었으며 다만 몇몇 주기 곧 하천 누정(누각) 진보 포(항구) 부곡 교(다리) 평주 목장 리 항목은 오히려 늘어났습니다. 동여도는 현존하는 지도가 가운데 가장 자세하며 또한 이 지도는 대동여지도를 판각하기에 앞서 제작한 선행지도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