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차분한낙타57
차분한낙타5723.12.19

겨울에 눈이 쌓이면 염화칼슘을 뿌리는데?

겨울에 눈이 쌓이면 염화칼슘을 뿌리는데 어떤 원리로 그렇게 빨리녹는지요? 해로운점은 무엇이 있나요? 이부분이 궁금해서 질문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에어컨난방기798입니다.

    염화칼슘은 주변의 습기를 흡수하면서 녹을때 열이 발생해요.그래서 눈 위에 염화칼슘을 뿌리면 습기를 빨아들여 눈이 녹고 또 염화칼슘이 녹으면서 발생한 열이 눈을 한 번 더 녹이게 되요.눈을 두 번 녹이고

    녹은 눈이 다시 잘 얼지도 않게 하는 효과가 있어요.

    염화칼슘은 염소와 칼슘 이온결합으로 결합한것으로 도로의 파괴자로 불려요.부식성 강해 차체밑 부식 시키고 눈에 녹으면서 소금물로 변한 염화칼슘이 아스팔트의 취약한 부분을 파고 들면서 도로에 움푹 패인 구멍 만드는 주범예요.


  • 안녕하세요. 봄여름가을겨울 동화속 은빛파도입니다.

    염화칼슘은 낮은 온도에서도 물에 잘 녹으며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밀폐된 공간의 수분제거나 순수한 기체에 포함된

    수분제거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외부에 노출시키면 수분을 흡수하면서 열이 발생합니다.

    조해성, 즉 공기 중에 있는 물(습기)을 흡수해서 스스로 녹는 특징이 있습니다.

    눈위에 뿌려진 염화칼슘은 눈을 녹이고 액체가 되면서염소이온과 칼슘이온으로 분리가 되어집니다.

    물과 섞인 염화칼슘은 물의 어는점을 낮추어서 영하의 온도에서도 쉽게 얼지 않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