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동어랑 북경어 차이가 얼마나 큰 가요?
중국어도 표준어가 북경어이고, 그 이외에 사투리 같은 게 엄청 많다고 들었습니다. 그중에서 중국 남쪽에서 쓰는 광동어가 유명하던데요. 이 광동어는 북경어랑 얼마나 차이가 나나요? 경상도 전라도 차이 보다 큰가요?
광동어와 북경어는 중국어의 대표적인 방언으로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발음이 다릅니다. 광동어는 6성조를 가지고 있고, 북경어는 4성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두번째로 어휘가 다릅니다. 광동어는 고유한 어휘가 많으며, 북경어는 표준 중국어로서 전국적으로 사용되는 어휘가 많습니다.
세번째로 문법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광동어는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 반면, 북경어는 어순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네번째로 사용 지역이 다릅니다. 광동어는 홍콩, 마카오, 광저우 등 중국 남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북경어는 중국의 표준어로, 중국 전역에서 사용됩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광동어와 북경어는 서로 다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중국어의 방언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문법과 어휘는 유사합니다.
광동어를 방송에서 접하면서 아주 쉬운 문장 몇개는 타지역 사람이 이해는 할 수 있어도, 지속적인 대화가 광동어로는 소통이 힘이듭니다. 진짜 토박이 광동사람은 아예 먼지역의 사람하고는 대화가 통하지를 않습니다. 만약 대화를 한다고 하면 광동사람이 중국표준어를 어설프게 하면서 대략적으로 이해하는 수준이 되는거죠. 전라도와 경상도 차이는 광동내에도 사투리가 존재하는데 광동내 사투리 정도의 차이입니다. 광동어는 북경어에 정확히 빗대자면 거의 다른 나라 언어일정도로 다르다고 보시면 됩니다.
광동어와 북경어의 차이는 한국의 경상도 사투리와 전라도 사투리의 차이보다 훨씬 큽니다. 몇 가지 주요 차이점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발음:
- 광동어와 북경어는 발음 체계가 크게 다릅니다. 광동어는 6개의 성조(일부는 9개로 보기도 함)를 가지고 있으며, 북경어(표준 중국어, 보통화)는 4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같은 한자어도 두 언어에서 발음이 전혀 다릅니다. 예를 들어, "학교"는 북경어로 "학교" (xuéxiào)이며, 광동어로는 "학하우" (hok6 haau6)로 발음됩니다.
2. 문법:
- 문법 구조도 상당히 다릅니다. 광동어는 고유한 어순과 문법 규칙을 가지고 있으며, 북경어와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부정문의 구성 방식이나 시제 표현 등이 다릅니다.
3. 어휘:
- 두 언어는 많은 단어가 다릅니다.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라도 북경어와 광동어에서 사용하는 단어가 다를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화장실"은 북경어로 "洗手间" (xǐshǒujiān)이고, 광동어로는 "厕" (ci3) 또는 "洗手间" (sai2 sau2 gaan1)입니다.
4. 서로 이해 가능성:
- 광동어 화자와 북경어 화자는 서로의 언어를 알아듣기 힘듭니다. 이는 한국의 경상도 사투리와 전라도 사투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차이입니다. 사투리는 기본적으로 같은 언어의 방언으로서, 발음이나 일부 어휘의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상호 이해가 가능합니다.
- 그러나 광동어와 북경어는 상호 이해가 불가능할 정도로 차이가 큽니다. 마치 영어와 독일어의 차이처럼 다른 언어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5. 문화적 차이:
- 광동어는 홍콩, 마카오, 광둥성에서 주로 사용되며, 이 지역들은 독자적인 문화와 미디어를 발전시켜왔습니다. 따라서 이 지역의 사람들은 북경어보다는 광동어에 더 익숙합니다.
- 북경어는 중국 전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정부와 교육 시스템에서 표준어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광동어와 북경어의 차이는 단순한 사투리의 차이가 아니라, 두 개의 별개의 언어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상도 사투리와 전라도 사투리의 차이보다 훨씬 큽니다.
실제 중국에서 겪은일인데 업무차 중국공장에 갔을 때 보니 근무시간 중인데 작업복을 입은 두 직원 있고 중간에 일반인으로 보이는 아주머니가 시끄럽게 이야기를 하고 있어서 물어보니 두 작업자 사이에 싸움이 있었는데 서로 말이 통하지 않아 한직원의 부인이 통역을 하고 있는 중이었다고 했습니다. 같은 중국어 이지만 도저히 알아 듣지를 못하니 우리나라 사투리와는 차원이 다른 것 같습니다. 중국에서 TV를 시청하면서 보면 항상 자막이 나와있는데, 자막이 없으면 이해를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렇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