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3.08.05

모기에 물리면 왜 부어오르고 간지랍나요??

안녕하세요

모기가 요즘 많은데요

모기에 물리면 간지럽고 부어오르는데 모기가 문 자리는 어떤 원리로 부어오르는 건가요??

모기에게 그런 물질이 잇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모기는 머리에 있는 작은 미세한 날개를 사용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피를 빨아먹습니다. 모기의 입은 날카로운 작은 물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피부를 찌르고 피혈을 합니다.

    모기의 물개에는 항코팅 속성이 있어 피부에 물이 주입될 때 혈관 주변의 피를 응고시키는 물질이 방해되어 피가 혈관을 빠져나오기 어렵게 만듭니다. 이러한 과정으로 피가 주입될 때 모기의 물개 주변에 부어오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또한, 모기의 물개에는 항응고 효과를 감지하는 세포가 있어 피혈 후 혈액응고 방지 물질을 방출합니다. 이러한 물질이 주입된 피 주변에서는 혈액응고가 잘 일어나지 않아 모기가 빠르게 피혈을 마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모기의 침에는 또한 히스타민이 들어 있습니다. 히스타민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입니다. 모기에 물린 사람 중 일부는 히스타민에 민감하여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은 가려움증, 붓기, 발열, 두통,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

    모기가 피를 빨 때는 흡혈관과 타액관이 같이 피부를 뚫고 들어옵니다. 타액관에서는 지방조직을 녹이는 성분과 '하루딘'이라는 응고를 억제하는 성분을 타액과 함께 내보내면서 흡혈을 합니다. 모기가 흡혈하는 과정에서 흡혈 뿐만 아니라 타액이 들어오기 때문에 체내에서는 이 타액을 이물질로 인식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면역반응이 일어납니다. 이때 가려움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이 함께 분비되며 이는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가려움증과 빨갛게 붓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