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6.22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별을 관측하기 시작했나요?

인류는 역사상 아주 오래전부터 별을 관측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우리나라가 본격적으로 별을 관측하기 시작한 시기는 언제부터인지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별을 관측한 기록은 역사적으로 매우 오래되었습니다. 예로부터 고구려 시대에는 별을 관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천체의 위치를 토대로 세월을 계산하는 등 천문학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천문기상관측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인 천문도가 설치되어, 별을 관측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이후 대한제국 시대에는 서양의 천문학 지식이 수입되면서, 천문학 연구가 더욱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삼국사기나 신라시대의 서적에 나오는 혜성의 기록이 최초의 천문기록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삼국시대때 부터 기록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첨성대가 별을 관측하기 위한 구조물이라고도 하지요

    아마 그 이전에도 관측하지 않았을가합니다. 기록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별을 관측하기 시작한 시기는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지만, 역사적인 기록을 통해 근사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918년~1392년)에는 천문 관측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성리학의 영향을 받은 천문학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장차, 선창 등의 천문대가 설치되어 천체 관측과 천문학적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당시의 천문학자들은 별의 이동, 계절의 변화, 천체의 궤도 등을 관측하고 기록했습니다.


  • 고려시대 이전의 관측 기록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며, 주로 천문학적 현상에 대한 기록으로서 보존되어 있습니다.

    고려시대 이후, 조선시대에는 천문 관측이 발전하였습니다. 조선왕조 시대에는 천문대와 관측기구가 설치되어 별들을 관측하고 기록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천체 관측이 활발히 이루어져 천문학의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조선시대 천문학자들은 천체의 운행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정확하게 기록하여 약력과 예측에 활용했습니다.

    조선시대 천문학의 정점은 '성신기문감(星辰奇問簡)'이라는 책으로 알려진 김제이(金濟以)의 저작입니다. 이 책은 당시의 천문 관측과 천문학 이론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당시의 천문학 수준을 나타내는 중요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