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6.16

러시아 출신도 아닌 스탈린은 어떻게 소련연방의 국가원수가 될 수 있었나요

구소련 시절 스탈린은 러시아 출신도 우크라이나 출신도 아닌 그루지아 출신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조그만 나라 출신이 어떻게 해 소련연방의 국가 원수가 될 수 있었는데 그 배경이 궁금합니다 것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20년대 초 모스크바에서는 정권 수뇌들 사이에 노선 차이에 따른 갈등이 심해지고 있었다. 트로츠키는 ‘영구혁명론’을 내세우며 서유럽에서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나게 돕는 일에 전력을 다해야 한다고 본 반면, 스탈린은 ‘일국사회주의론’을 주장하며 소련의 입지를 든든히 하는 일이 먼저라고 했다.


    또한 자본주의적 방식을 일부 채택했던 ‘신경제정책’ 역시 쟁점이었다. 트로츠키는 이를 사회주의의 타락으로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본 한편, 레닌과 스탈린은 민심을 달래기 위해 당분간 불가피하다고 여겼다.


    트로츠키파와의 갈등이 점점 험악해지자, 레닌은 스탈린을 당의 초대 서기장에 앉히고 상당한 권력을 행사하도록 했다. 그러나 그 직후(1922년 5월) 뇌졸중 발작을 일으킨 레닌은 고리키 마을에 칩거하며 정무를 스탈린에게 대리하도록 했는데, 가끔 찾아온 스탈린과 대화하며 점점 그의 냉혹함과 비인도성에 회의가 들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1922년 12월 말에 작성한 유서에서 자신이 죽은 후에는 집단지도체제를 택해야 하며, 스탈린은 지나치게 무자비하므로 권력을 독점하게 할 수 없고 지금의 서기장직에서도 해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스탈린은 그 유서를 은폐하고,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를 끌어들여 ‘삼두정치’ 체제를 수립했다.


    그리고 1924년 1월에 레닌이 죽자, 트로츠키파를 숙청하고 실권을 장악했다. 스탈린 한 사람의 손에 갈수록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은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이번에는 트로츠키에게 접근하여 반 스탈린 전선을 펼쳤지만, 러시아 혁명 10주년이 되던 1927년의 당 중앙위원회에서 스탈린은 세 사람을 제명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스탈린의 독재체제는 완성된 것이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