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호화로운호박벌145
호화로운호박벌145
22.09.16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반딧불이는 빛을 내는데, 그 작은 몸집으로 어떻게 그렇게 밝은 빛을 내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반딧불이를 모아서 공부를 했다 이런 말도 나올 정도인데, 정말 그렇게 밝게 빛을 내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을 만드는 기관의 세포에서 만들어진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이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빛이 발생하게 되는 원리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의 몸 안에 그러니깐 정확히 말하면 배의 끝 부분에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가 산소와 결합하며 빛을 발산합니다. 이 루시페라아제는 반딧불이 배에 특수한 발광 세포인 루시페린이라는 화학물질에 의해 생성되는데요. 루시페린이 활성화되면 루시페라아제가 분비되고, 분비된 루시페라아제가 산소와 결합하여 옥시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만들게 됩니다. 옥시루시페린이 빛을 내는 빛 에너지 물질이 되는것이죠.

  • 야광의 원리는 반딧불이의 원리와 같습니다.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생물발광을 실생활에 적용한 것입니다.

    야광은 다이페닐옥살레이트라는 형광물질과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내부에서 이 두 물질이 만나 이산화탄소가 발생됩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에너지가 빛을 내는데 이것이 형광물질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 몸속에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가 발생하고 산소와 만나면 빛을 만들어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는 몸에서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내뿜는데 이 루시페린이 공기중 산소와 만나 화학반응을 하며 빛을 냅니다. 그리고 반딧불이는 공기가 맑은 지역에 서식하고 있어서 도심에서 보기가 힘든게 아쉬운 점입니다. 논이 많은 곳이나 숲이 우거진곳, 산이 많은곳에 가야 볼 수 있게되었습니다. 반딧불의 밝기는 3 [㏓](럭스) 정도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집의 밝기는 300~400 [㏓] 정도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의 꽁무니에는 루시페린(luciferin)이라고 하는 발광물질이 있습니다. 이 루시페린은 산소와 만나게 되면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를 통해 화학반응을 일으키고 옥시루시페린이라는 물질로 바뀌면서 빛을 낸다고 합니다.

    예전에 어떤 프로그램에서 실험을 한것이 있었는데 수백마리를 봉지에 모으니 깜깜한 방에서 글을 읽을 정도는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