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작은아나콘다192
작은아나콘다19222.11.15

우리나라 금리 예상이 궁금해요?

최근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가 발표되고 환율이 급락하고 미국 연준이 금리를 올리는 속도를 낮출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 차이긴 1%인데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최근 CPI지수가 긍정적으로 나와 어느정도 속도조절에 대한 기대가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올해 남은 한번의 기준금리변동의 이슈에서는 인상쪽으로 가닥이 잡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추가적으로 물가안정추이 등을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내년 상반기까지는 보수적으로 금리인상쪽에 무게가 더 있다고 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난 10일밤 미국의 CPI지수가 7.7%로 예측치인 8%로 대비 크게 하회한 수치가 나오면서 연준의 금리인상속도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이에 미국의 12월14일 FOMC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폭이 0.5%이하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11월 24일 우리나라의 금통위에서도 0.25%의 금리인상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요.

    하지만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늦춰진다고 하여도 우리나라와의 기준금리 차이는 환율에 부담이 될수 밖에 없어서 제 예상은 0.5%인상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그럼 올해 연말에는 미국은 4.5% 우리나라는 3.5%로 1% 차이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내년에 미국의 기준금리인상이 유지되더라도 속도가 늦어지면서 최종금리 수준은 5.25%에서 5.5%가 예상되고 우리나라는 4.5%에서 4.75%가 예상되어 0.75%범위 내에서 금리 차이가 형성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연준의 12월 금리인상이 있고 우리나라는 이번달에 금리인상 발표가 있는데 1%금리차이와 미국연준의 12월 금리인상을 고려할때 우리나라 이번 금리인상은 빅스텝정도가 우력해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장기간 지속적으로

    벌어진다면 외인의 투자자본 유출 및 원달러 환율이

    급등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서 우리나라의 금리는 서서히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만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5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 기준금리는 현재 3.00%입니다. 11월 금통위에서 0.5%의 빅스텝을 진행할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은행이 이번 금리 인상 사이클에서 11월 인상을 끝으로 최종 금리를 3.5%에서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