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

고려나 조선은 백제에 비하여 해상교역문화에 적극적이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백제는 해상교역의 중심지이였습니다.

또한 통일신라이후 장보고의 청해진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교역의 중심이었던적도 있습니다

이후 고려나 조선 특히 조선같은 경우 해상교역문화에 매우 소극적이었으며 일본과 비교하여도 유럽의 선진문화에 배우 배타적인 모습을 보였다는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왜 해상교역문화에 적극적이지 않았던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아한따오기
      우아한따오기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와 조선은 한반도 내륙에 위치해 있어 해양 진출이 어려운 지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해상교역보다는 육지에서의 교류와 발전에 더 집중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는 산업의 근본을 농업에 두었으며 대외교섭을 하려면 해양이 절대적인데 폐쇄적인 해양정책으로 조선에서 해양문화가 발달할 수 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