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서는 노비가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정도나 되었나요?
조선시대에서는 노비가 잇었는데요. 그렇다면 이 노비들이 전체 인구에서 비중이 어느정도나 차지했는지 궁금하며 초기와 말기까지 시대가 흐르면서 비중이 어떤 흐름을 보였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노비의 비중은 전기에는 30%정도되었으며 후기로 가면서 10%대까지 줄어들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전기에는 양반의 수가 많고 노비의 수가 적었습니다. 약 5%였다고 합니다.
그런던것이 조선 후반기로 가면서 노비의 수가 점점 늘어 35%정도까지 늘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공노비 수를 보면 태종 10만, 세종 20만, 성종 35만으로 전체 노비의 10%정도가 공노비 였습니다.
노비의 수는 꾸준히 증가해 40~50%수준을 유지하다 17세기 조선 전체의 인구의 60%에 이르게 됩니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점점 줄어들게 되는데 납속책이 있어 돈을 주면 노비에서 해방, 화폐경제의 등장으로 땅이 없어도 먹고 살수 있게 되면서 도망 노비가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18세기 후반 약 30%정도 감소하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전기에는 노비가 적어도 전체 인구의 40∼50%를 넘었음이 분명한데 이는 조선 전기 농업노동의 상당 부분이 노비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의미 합니다. 하지만 조선 중후기로 갈수록 부유한 노비들이 늘어 가면서 노비들이 양반첩을 사기도 하고 도망도 가면서 노비의 숫자는 많이 줄어 듭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시공동체가 해체되고 초기 국가가 성립되면서 정치권력의 형성과 함께 금속제 농기구에 의한 생산력이 발달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지배집단과 피지배집단간의 정복전쟁이 이뤄지고 반복된 정복전쟁으로 포로와 점령지 주민들은 노비로 전락하였습니다. 조선 전기에는 양반 7% 중인 20% 평민 45% 노비28%정도였다가 조선 후기에는 중인과 평민들이 공명첩 등으로 양반이 되어 70%와 노비 30%의 구성을 보였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