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2.10.09

공기중에는 다양한 기체가 존재하는데...

우리는 산소로 호흡하고 이내 이산화탄소를 내뱉는다고 배웠는데..

사실, 공기중에는 산소보다 질소가 더 많고 이산화탄소 등 다른 원소의 가스도 있는데

그럼, 사람이 호흡할때 이런 가스도 같이 들이마시고 있는 건가요?

이런 가스들은 사람한테는 무해한 건가요?

추가로..도시보다 시골이나 깊은 산속이 산소의 농도가 더 높은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Q. 그럼, 사람이 호흡할때 이런 가스도 같이 들이마시고 있는 건가요?

    이런 가스들은 사람한테는 무해한 건가요?

    A. 네, 호흡할 때 공기를 마시기 때문에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등 여러가지 기체를 마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몸에서 흡수되는 것은 산소 뿐입니다. 다른 기체는 우리몸에서 필요로 하지않기 때문에 폐에 들어오게 되어도 산소만 흡수되지 나머지는 그대로 나갑니다. 그래서 무해하지 않죠.

    Q. 추가로..도시보다 시골이나 깊은 산속이 산소의 농도가 더 높은가요?

    A. 네, 시골 깊은 산속에는 도시와는 달리 나무와 풀이 많이 있습니다. 나무와 풀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소비하여 산소를 다수 만들어냅니다. 그래서 공기중에 산소의 농도가 높은 상태입니다. 그래서 공기가 좋다고 하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소를 적절히 흡수하는 정도는 현대 공기의 조성에 따라 진화해왔습니다.


    실제로 옛날 고생대에는 산소농도가 높아짐에따라 몸의 산화도가 올라 수명이 짧아지고 몸집이컸었던 시기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공기 내에 산소 외의 가스는 대표적으로 질소 입니다.

    이 질소는 비활성기체이므로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그 외에는 1% 이하이기 때문에 농도가 높지 않는 이상 마찬가지로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산소 농도가 나무가 많은 경우 더 높긴 하나 차이는 미미합니다.

    도시의 경우 약 20.5%, 시골은 21% 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