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불문곡직 (不問曲直)'이라는 사자성어의 명확한 해석이 궁금합니다

춘향전에서 이와 같은 구절이 있습니다.

'변사또는 부임하자마자 불문곡직하고 죄인들 곤장부터 치기 시작했다.'

이 사자성어를 어떻게 해석하는게 정확할지 모르겠어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문곡직(不問曲直)은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음을 말합니다.

      어떤 것이 옳고 어떤 것이 그른지 묻지 않고 무작정 자신의 판단을 실행에 옮길 때 자주 사용하는 표현입입니다.

      정직과 상반된 표현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변사또가 저렇게 권력을 남용하면 상당한 상황이 발생하겠죠.

    •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不 : 아니 불(一/3)
      問 : 물을 문(口/8)
      曲 : 굽을 곡(曰/2)
      直 : 곧을 직(目/3)

      불문곡직, 고사성어로 한국 무협지에도 자주 나오는 말 입니다. 상사가 부하들에게 명령을 했을때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고 벌을 줄때 사용하는 말 입니다.

      군대문화가 떠오르네요

      그럼 도움이 되셨길 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닐 불, 물을 문, 굽을 곡, 곧을 직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마구 처리함'을 뜻함

      <사기(史記) 열전(列傳) 이사전(李斯傳)>에 실린 것으로, 이사(李斯)라는 초 나라 사람이 진 나라에서 벼슬을 하고 있었다. 어느 날 진나라의 종실 사람들과 대신들이 진 나라 출신을 제외한 다른 제후국 출신의 신하들은 신뢰할 수 없으므로 쫓아내야 한다는 '축객(逐客)'의 상소를 진시황에게 올렸다. 이사는 자신도 그 명단에 포함된 사실을 알고 진시황에게 상진황축객서(上秦皇逐客書)라는 상소문을 올렸다.


      "음악을 즐길 때는 좋기만 하다면 다른 나라의 음악을 연주하면서 사람을 쓰는 것은 그렇지 않은 것은 어째서입니까? 가부를 묻거나 곡직을 가리지도 않고 진 나라 출신이 아니면 떠나게 하고 객들은 내쫓으려 한단 말입니까? 백성을 경시하고 재물과 즐거움만을 중시하는 것은 천하와 제후를 다스리는 어진 방책이 아닙니다."

      출처 : 시사상식사전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문곡직은 곱음과 곧음을 따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고 일을 처리한다는 의미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문곡직(不問曲直)이란 단어는 굽은 것과 곧은 것을 묻지 않는다는 뜻으로,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함부로 일을 처리하거나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태도는 때로는 일을 간편하게 처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옳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것 입니다.

      • 不: 아닐 부, 아닐 불

      • 問: 물을 문

      • 曲: 굽을 곡

      • 直: 곧을 직

      그래서 다음 문장은 다음과 같이 해석 하면 됩니다.

      변사또는 부임하자마자 불문곡직하고 죄인들 곤장부터 치기 시작했다

      ==> 변사또는 옳고 그름을 가리지도 않고(무조건) 죄인들 곤장부터 치기 시작 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문곡직이란 굽은 것과 곧은 것을

      묻지 않는다는 뜻으로,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함부로 일을 처리하거나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굽음과 곧음을 묻지 않는다는 것으로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함부로 일을 처리함을 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