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재밌는매252
재밌는매25221.08.28

반깁스가 많이 답답하다고 하는데 하고 있어야 하는 건가요?

아이가 넘어지면서 손목을 다쳤어요.

다행히 응급실에 가서 엑스레이 찍고 뼈가 멀쩡한 것은 확인하여 한 숨 놓긴 했는데 아이가 깁스 한 게 많이 불편하다고 하네요.

응급실에서는 되도록이면 하고 있으라고 했는데, 잠깐 풀었다가 다치 차고 하는 정도는 괜찮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손목에 골절이 가해졌을때는 해당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을 해줘야 합니다. 자주 움직이게 되면 치유기간이 더 길어질수 있기 때문이에요.

    아이가 불편해도 가능하면 병원의 권고대로 깁스를 하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절이 없다면 반드시 부목을 하고 계셔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되도록이면 고정을 하는 것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계속 착용하고 있으라고 하는 것입니다. 많이 불편하다면 잠시 풀었다 다시 감았다 하는 것은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반깁스라고 하더라도 계속 착용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일상생활에 불편감이 있기 때문에 완전히 깁스를 하지 않는 것이지 여건이 된다면 계속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잠깐 풀었다가 다시 차는 것 정도는 큰 영향이 없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8.30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뼈가 다치지 않았더라도 여러 인대나 다쳤을 경우에는 깁스를 해서 움직임을 제한해주는 것이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인대의 회복시간을 주지않고 계속 움직이다 보면 회복기간도 길어질 뿐 아니라 나중에 후유증이 남을수도 있습니다. 답답할때 잠시 풀었다가 다시 차고 하는 정도는 괜찮겠지만 풀고 손목을 쓰는 행위는 좋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마 인대 손상이 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유지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이가 손목을 다쳐서 많이 놀라셨겠습니다. 그래도 다행히 골절은 아닌가 보네요. 골절이 없어도 손목 인대가 늘어난 상황이 빨리 회복되려면 가급적 반깁스를 하고 고정을 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잠깐 씻을 때 풀었다가 다시 차는 정도는 괜찮지만, 가급적 풀지 않는 것이 더 좋습니다. 보통 잠시 풀어도 된다고 하면 풀고 놀다가 다시 착용을 안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관절, 근육의 염좌로 통증이 지속될 경우 가장 좋고 확실한 치료방법은 해당 부분을 사용하지 않는 것 입니다. 생각날때마다 신경써서 안쓰는게 아닌 완벽하게 고정 후 무의식적인 움직임도 줄이는 것이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사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