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용어 중에 커패시턴스가 무슨 뜻인가요?
전기차 배터리 화재에 대한 뉴스 중에
"EIS는 교류 전압을 가할 때 발생하는 전류 노이즈의 응답 특성을 해석해 저항, 커패시턴스 등의 값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EIS를 활용하면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알 수 있는 특정 주파수를 값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BPA와 연계해 배터리 상태, 배터리 노후화 정도, 덴드라이트 발생 정도 등의 배터리 특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내용에
커패시턴스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화학적인 특성에 관련된 용어 입니다.
이 커패시턴스는 전기 이중층이라고 불리고 표면에 저 장된 전하의 양을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이 커패시턴스의 생성과정은 고체나 액체 표면에 이온들이 흡착하여 전하층의 형태로 생성되며 이 생성된 전하층의 표면과 인근 전해질 사이에서 전하를 저장 및 분리함으로써 전기 화학 반응에 영향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커패시턴스는 화학 용어 중 하나로,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매개 변수입니다. 커패시턴스는 전기 이중층이라고도 불리는 표면에 저장된 전하의 양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전기 이중층은 고체 표면 또는 액체 표면에 이온들이 흡착하여 생성되는 전하층입니다. 이중층은 표면과 주변 전해질 사이에서 전하를 저장하고 분리함으로써 전기화학 반응에 영향을 줍니다.
커패시턴스는 전하량과 전압 변화 사이의 비율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단위 면적당 전하량과 단위 전압 변화로 표현됩니다. 단위 면적당 전하량이 크면 커패시턴스도 크고, 단위 전압 변화에 대해 더 큰 전하량을 저장할 수 있는 물질이라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커패시턴스는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커패시턴스는 두 개의 전도체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여 전기 에너지를 저장합니다. 커패시턴스는 전도체의 면적, 전도체 사이의 거리, 전기장의 세기와 같은 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커패시턴스가 Capacitance가 맞다면 전기용량을 뜻합니다.
전기용량은 축전기가 전하를 충전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물리량이죠.
다시 말해 커패시턴스는 전압을 가했을 때 축적되는 전하량의 비율을 나타내며 추가로 C로 표기하고 단위는 패럿입니다.
그리고 가끔 정전용량이라고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체가 전하를 축적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물리량. 전기 용량 또는 정전용량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콘덴서의 양극에 음·양의 전하가 축적될 때, 그 전기량은 양극 간의 전위차에 비례한다. 그 비례계수가 전기용량이다. 단위로는 패럿(F)을 사용한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용량은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대전체에서 전압 당 전하량 총합의 비이다. 기호는 일반적으로 C를 사용한다. 전기용량을 뜻하는 예전 용어인 정전용량 역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전기를 다루는 일선 현장에선 영어를 음차한 커패시턴스(Capacitance)도 흔히 쓰인다. 전기를 띄는 물체를 대전체라고 한다. 대전체가 전기를 띄는 이유는 전하가 쌓이기 때문이다. 쌓인 전하는 대전체에 그대로 머물러 정전기가 될 수도 있고 전기 회로를 구성하여 흐를 수도 있다. 둘 중 어느 경우이든 대전체에 전하가 쌓인다면, 즉 축전(築電)된다면 이 때 쌓이는 전하의 양을 생각할 수 있다. 대전체에 쌓이는 전하량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전된 전하량의 총합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대전된 물체는 그로 인해 전압을 지니게 되므로 전압 당 전하량의 비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것이 전기용량이다.
출처 : 위키백과 - 전기용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