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시대에 가장 많이 쓰였던 시조가 궁금해요~
고려후기에 시작해서 조선시대 전기에 전성기였다는 시조는 연시조, 평시조, 사설시조의 형식으로 나뉜다고 하던데요. 각 시조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시조는 평시조와 사설시조가 있습니다. 평시조가 먼저 있었고, 사설시조는 평시조의 형식이 점차 무너지면서 양이 많아진 것입니다. 평시조는 4음보격을 철저하게 지키고 있기 때문에 말 그대로 손모가지를 걸어도 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사설시조는 4음보격이 파괴된 경우가 많습니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사설시조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도저히 4음보라고 말할 수 없지요.
나모도 바히돌도 업슨 뫼헤 매게 쪼친 가토릐 안과,
대천 바다 한가온대 일천 석 시른 배에, 노도 일코 닷도 일코 뇽총도 근코 돗대도 것고 치도 빠지고, 바람 부러 물결치고 안개 뒤섯계 자자진 날에, 갈 길은 천리 만리 나믄듸 사면이 거머어득 져뭇 천지 적막 가치노을 떳난듸, 수적 만난 도사공의 안과,
엇그제 님 여흰 내 안희야 엇다가 가을하리오.
댁들에 동난지이 사오. 저 장사야, 네 황후 그 무엇이라 웨느냐. 사쟈.
외골 내육, 양목이 상천, 전행 후행, 소아리 팔족 대아리 이족, 청장 아스슥하는 동난지이 사오.
장사야, 하 거복이 웨지 말고 게젓이라 하렴은.
조선시대 시조라고 하셨으면 평시조뿐 아니라 4음보가 아닌 이러한 사설시조도 포함하는 것입니다. 이제 학교 국어선생님의 손은 질문자님의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