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산뜻한멧토끼279
산뜻한멧토끼27921.03.22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나 차이는요?

두 백신 원리 차이가 궁금합니다.

어떤 원리로 백신이 만들어지고 그리고 우리 몸에서 작용하여 백신으로서 역할을 하게되는 것인지 그리고 부작용은 왜 일어나는 것인지가 너무나도 궁금해서 문의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영기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최근의 백신 관련 보도로 질문자님을 포함해 많은 분들이 우려하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기존의 백신의 균 또는 바이러스를 직접 주입하는 생백신과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켜 주입하는 사백신의 형태가 있었습니다.

    이번 코로나19 백신은 바이러스를 모두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mRNA 전사체를 투여하는 화이자/모더나 백신과

    바이러스 벡터를 투여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나뉩니다.

    화이자/모더나 백신은 극저온에서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가 어렵고 가격이 비쌉니다.

    화이자는 물량이 적어 코로나 지정 병원 등에서 일부 접종 중에 있고

    대부분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게 됩니다.

    예방접종에 대해서는 접종하지 않고 코로나에 감염되었을 때의 위험과 백신 접종의 부작용으로 인한 위험성 중

    어느 것이 큰것인가에 대해 전문가들이 논의하였을 때 이득이 많다고 해당될 때 접종을 권유합니다.

    백신접종을 했을 때 위험보다 코로나에 감염되었을 때의 위험이 더 크다고 판단될 때입니다.

    만약 너무 불안하시다면 백신 접종은 원치 않는 다면 연기가 가능합니다.

    급성 질환 환자/발열환자 와 임산부, 소아 환자는 접종을 하지 않습니다.

    사망했던 케이스는 요양병원에 있는 환자,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들이었지만 그 외 사망위험은 낮다고 판단됩니다.

    임상시험을 통해 지금까지 알려진 부작용은 모더나,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에서 모두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우선 백신 임상실험에서는 화이자/모더나 mRNA 백신의 경우 95%의 예방효과를 나타냈다고 합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또한 90% 가까운 효과를 나타냈다고 하구요.

    하지만 임상3상까지는 인체에 투여했을 때까지 큰 부작용이 없는지,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 결과를 발표했을 뿐 실제 집단면역을 형성하여 코로나로부터 이겨날 수 있을지는 시간이 지나고 백신을 맞은 후에 재발병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후향적 연구가 추가로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바이러스 벡터 백신이고 화이자는 mRNA백신입니다. 제조 방법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효과나 부작용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백신이 몸에 들어가면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반응을 유발하게 됩니다. 항체가 생기는 면역반응이 나타나면서 열이나 몸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