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되니 전국의 축제가 마을마다 군단위 시단위 도단위 식으로 여는것 같고 모든 고축제가 비슷비슷 한 이유가 무엇 인지요?
매년 하는 축제 돌아보면 모두 비슷비슷하고 여기에 파는 음식은 좀 과포장 되고 폭리를 취하는 것 같은데 이들 지자체는 모두 이런 축제 후 그 지역에 얼마나 그 도움이 되고 금액적으로 투자 대비 수익이 많이ㅣ 나오나요 전 적자 같은데 재정 자립도가 낮은 지역이든 아니든 마구잡이식 축제 이제는 그만 햇으며 합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묻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빛나라 하리 입니다.
축제 시기가 비슷한 이유는 자연의 계절변화, 농경사회의 수확기 그리고 지역.문화적 전통이 맞물리기 때문 입니다.
지역별 축제가 계절에 맞춰 열리는 이유는 자연환경, 지역특산물, 전통문화, 관광객 유치 등 다양한 지역 특성에
최적화된 시기에 맞춰 진행되기 때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축제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측면이 있다보니
지자체에서 무분별한 축제 행사를
많이 진행하는것 같으며
그로인한 교통 문제 및 음식값
폭리등의 이슈도 많이 나오는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질문자님의 생각에
공감하며 취지에 맞는 지역축제에만
집중하고 행사 퀄리티를 높이는데
주력했으면 합니다.
지자체들이 축제를 여는 이유가 일단 중앙정부 지원금이나 관광진흥기금같은 예산을 받아내기 쉬운 명분이 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지역 정치인들 입장에서는 뭔가 일하고 있다는 성과를 보여주기 좋은 수단이기도 하고요 실제로 경제적 효과는 질문자님 말씀대로 대부분 적자라고 생각됩니다 축제 준비비용 인건비 홍보비용 다 합치면 몇억씩 들어가는데 실제로 외부 관광객이 와서 지역에 돈을 떨어뜨리는 금액은 그보다 훨씬 적겠죠 그리고 축제음식 바가지요금은 오히려 지역 이미지만 나빠지게 만드는 부분도 있고요 비슷한 프로그램이 되는건 기획사들이 거의 정해져있어서 똑같은 포맷을 돌려쓰기 때문이고 지자체 공무원들도 안전하게 검증된 프로그램만 선택하려고 하니까 다 비슷해지는것같습니다 차라리 그돈으로 지역 인프라나 복지시설에 투자하는게 낫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거라고 봅니다.
실제로 가을만 되면 전국 곳곳에서 “○○축제”, “△△문화제”가 열리는데, 겉으로 보기엔 다 비슷비슷하죠.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1. 지자체 홍보 목적의 과잉 경쟁
가. 대부분 축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명분으로 하지만, 실제론 지자체 실적용인 경우가 많습니다.
나. “우리 지역도 뭔가 한다”는 행정성과 중심이라, 콘텐츠보다 형식 중심으로 흐르기 쉽습니다.
2. 주민 참여보단 외부 관광객 유치 중심
가. 주민 중심이 아닌 ‘외지인 모으기’형 축제가 많아, 지역 특색보다 비슷한 구성(먹거리·공연·야시장 등)으로 복제됩니다.
나. 결과적으로 지역만의 정체성이 약해지고, “어디서 봤던 축제 같다”는 느낌을 줍니다.
3. 경제적 실익은 제한적
가. 문화관광부나 지자체 평가에 따르면, 소규모 지역축제의 70% 이상이 적자로 끝납니다.
나. 축제 기간 동안 일부 상인이나 숙박업소는 이익을 보지만, 전체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미미한 편입니다.
다. 오히려 행사비·인건비·홍보비 등으로 예산 낭비 논란이 자주 일어납니다.
4. 지속 가능한 모델 부재
가. 진짜 성공하는 축제는 지역의 고유 문화·산업과 연계된 구조를 갖습니다. (예: 안동 탈춤, 진주 남강유등)
나. 반면 일회성 “먹거리·연예인 공연 중심 축제”는 해마다 비슷하고, 브랜드 가치가 쌓이지 않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처럼 지금은 “축제 남발 시대”를 정리해야 할 시점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는 단순한 유입보다 지역 주민이 주도하고, 고유 문화로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바뀌어야 진짜 ‘지역 살리는 축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국 지방에서 하는 축제들이 모두 비슷한 느낌으로 가는 이유는 하나의 축제가 잘 되면
그 축제를 모방하여 다른 지방에서도 열려고 하기 때문에
그 지역의 특색이 적어지는 모습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
새로운 아이디어보다 기존의 잘되던 포맷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국 축제들이 진부하다고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