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군의 중립외교는 어디서 영향을 받은 것인가요?
조선은 유교국가로서 왕족이라면 어릴 적부터 교육을 받을 것입니다. 그런데 광해군은 특이하게도 실리를 추구하는 점에서 기존의 유교사상과 다른데 어디서 영향을 받은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광해군의 중립외교는 너무 뛰어난 정책이였습니다.
1. 임진왜란으로 조선의 경제가 파탄난 상황에서 후금을 상대로 다시 전쟁을 하기에는 어렵다.
2. 왜란 당시 명나라군의 도움이 있었다지만 그들의 패악질도 만만치 않았다.
3. 비록 기유약조를 맺어 일본과의 국교를 정상화했지만 그들이 다시 침략할 가능성이 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엇 보다도 그의 풍부한 경험 입니다. 선조가 임진왜란 당시 의주로 피난 갔을때 분조라는 조정의 기능 일부를 분리 시킨 작은 규모의 정부를 이끌고 한반도를 돌며 항쟁을 독려했던 것은 광해군입니다. 먼저 함경도 평안도 일대를 돌며 전쟁을 독려합니다. 그후 평양탈환 후에는 경기도 전라도 일대를 돌며 분조를 이끕니다. 특히 1598년에 끝난 정유 재란까지 하면 명나라 장수들과 함께 생활한 광해군은 함경도 일대있을 때부터 분명 누르하치라는 영웅을 알고있었을 것이고, 명나라 장수들의 입을 통해 누르하치를 바라보는 명의 분위기도 알고 있었을 것이며 명나라의 국력도 분명 가늠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즉, 선조 혹은 기존의 왕들 그 누구보다 동북아시아의 정세와 조선의 현실, 명나라의 현실을 정확히 알 수 있는 위치에서 또한 현장의 경험 또한 풍부했다는 것이 그의 중립 외교를 가능케 한 원천 이였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14대 왕 선조가 조선을 다스리던 시절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는 백성을 버리고 의주로 피난 가버리고 그의 아들 봉림대군은 맞서 싸우면서 백성들의 신임을 얻게 됩니다.이를 질투한 선조는 어린 아내를 얻어 영창대군을 낳게 되는데 이후 선조가 갑작스런 죽음을 맞이하고 이와 동시에 왕세자로 책봉되었던 봉림대군이 왕위에 오르게 되는데 그가 바로 광해군입니다.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북인 세력도 함께 정권을 잡게 되는데 이를 보고 사람들은 광해군이 편파 정치를 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함께 고려해야 하는 것은 그 당시가 붕당정치의 사회였다는 것이죠. 광해군만 그런것이 아니었고 신하들이 붕당으로 나누어져 정권이 오락가락하던 시대였고 후에 영조와 정조가 탕평책을 내세우면서 잠시 혼란을 면했을뿐입니다. 영조와 정조의 사후에 붕당정치는 다시 시작 되었고 그 때는 붕당정치가 당연시되고 있었던 때라서 광해군은 편파 정치를 한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광해군은 즉위 후에 후금과 명사이에서 고민을 하고 있었고 현재 실세인 후금에 붙을 것이냐 이제껏 함께해왔던 명과의 의리를 지킬 것이냐.광해군은 실리를 위해 '중립외교'를 펼치기로 선택을 했지요.광해군이 실시한 중립외교는 명과 후금이 다툴때 명의 군사 지원 요청을 들어주는 척하고 군사를 보내 놓은 후 금이 공격하려면 바로 항복하는 것이었죠. 이로써 명에게는 군사를 보내주었으므로 의리를 지킬 수 있었고 후금에게는 일부러 출병한 것이 아니라는 명분을 만들 수 있었던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과 명의 연합군의 전과중 가장 큰 전과는 평양성 탈환으로 이 사건이 당시 우리나라 조선의 사대부들은 명을 은혜의 나라라고 생각하게 된 결정적 사건입니다.
이때부터 재조지은. 즉, 나라를 다시 건설하게 해준 은혜라는 뜻으로 사대부들은 당시 명의 재조지은에 보답해야 한다는 의식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해군은 중국의 명나라와 조선 왕조 간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중립 외교를 추진했습니다. 이러한 중립 외교는 광해군의 개혁 정책 중 하나였으며, 이를 추진하는 데에는 중국의 선조들의 외교 전략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의 선조들은 인접한 국가와의 관계에서 항상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며, 종종 자신의 국가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외교적 전략을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광해군의 중립 외교와 유사한 면이 있었으며, 광해군은 이러한 선조들의 전략에서 영향을 받아 중립 외교를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광해군은 중국과 일본의 갈등을 이용해 국내 정치적인 권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계획을 추진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계획은 일본과 중국 간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더욱 강조되었으며, 광해군은 이를 이용해 조선 왕조의 권력을 공고하게 유지하고자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아마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정세 및 외교를 보는 눈이 생긴 것일 것입니다. 광해군은 성품이
어질고 똑똑했는데 선조가 분조를 하면서 조선을 이끌었습니다. 그러면서 백성들이 전쟁에 의해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았고
힘의 논리가 어떤지도 보았을 것입니다. 책상에 앉아서 유교 경전만을 배웠던 왕들과는 분명 달랐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광해군은 조선 후기의 동요와 혼란기에 있어서, 추구했던 실리는 국가와 사회의 발전을 위한 혁신적인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해됩니다. 이러한 광해군의 사상은 다양한 사회적 요인과 영향력을 받았으며, 특히 18세기 후반 조선의 서양 문화와 기술, 그리고 신앙적인 요소들이 조선에 다양하게 유입되면서 이루어졌습니다. 광해군은 이러한 상황에서 서양 문화에 대한 흥미와 이를 조선에 도입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과 왕권 강화를 추구하는 정치적 갈등 등이 광해군의 독창적인 사상과 태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