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착력 없이 붙는 비닐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비닐인데 접착력은 없는데 반투명으로 되어 있어서 그릇이나 용기등 랩처럼 붙이는 붙는 비닐이 있드라고요. 이런 비닐은 어떤 원리로 붙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부 반투명 비닐은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붙는 원리입니다. 이 비닐은 표면에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특수한 소재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두 개의 비닐을 마주대고 부착하면, 비닐 표면 간에 정전기가 형성되고 상호 작용하여 서로 붙게 됩니다. 이러한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비닐이 그릇이나 용기에 붙어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EVA를 말씀하시는 듯 하네요.
물이나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온에서 고체상의 물질을 열을 이용해 액상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열용융형 접착제’를 의미합니다.
액상으로 녹은 상태에서 피착제에 도포된 후 빠르게 굳으면서 접착력을 발휘하는데요, 이 때문에 다른 접착제에 비해 건조과정이
필요 없어 접착속도가 빠른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상업적 활용자들에게는 통상 '핫멜트 접착제'라고도 하는데요
대표적인게...에틸렌-초산비닐계가 있구요..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등이 있습니다.
EVA는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핫멜트 접착제인데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를 ‘EVA’라고 합니다.
EVA 접착제는 탄성이 뛰어나고 저온에서도 유연성을 지니고 있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데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글루건’을 이용한 접착제가 바로 EVA 접착제입니다.
EVA 접착제는 중합도와 초산비닐 함유량에 따라 성질이 달라집니다.초산비닐 함량이 높을 수록 탄성과 유연성이 높아지면서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데요,
초산비닐 함량이 22~40% 정도의 고함량 제품은 주로 태양전지의 시트 제작용, 포장 및 목공용 접착제 원료로 사용됩니다.
저함량 EVA 제품은 함량이 3~20% 정도로, 필름(비닐)이나 스펀지, 신발밑창, 장난감 소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도움 되셨으면 좋겠네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렇게 가능한기술의 원리는 감압성 접착제의 한 종류입니다.
그릇이나 용기를 감싸는 데 사용되는 접착 비닐은 일반적으로 한 면에 감압 접착제가 있는 비닐 필름의 얇은 층으로 만들어집니다. 비닐에 압력을 가하면 접착제가 활성화되어 비닐이 그릇이나 용기의 표면에 달라붙습니다.
비닐의 접착제는 유리, 플라스틱 및 금속을 포함한 다양한 표면에 접착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접착제는 비닐과 표면 사이에 화학적 결합을 생성하여 작동하며 압력을 가하면 강화됩니다. 더 많은 압력이 가해질수록 비닐과 표면 사이의 접착력이 더 강해집니다.
감압성 접착제 외에도 일부 접착성 비닐에는 제거 가능한 접착제가 있어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비닐을 표면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임시 라벨링 또는 장식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 유용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러한 비닐은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붙게 됩니다. 비닐이나 플라스틱 등은 자체적으로 전기적으로 충전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두 개의 비닐이나 플라스틱을 마주 대면서 붙이게 되면, 각각이 가지고 있는 전하(양성이나 음성)가 서로 반대 방향이 되어 전기적으로 끌어당겨 붙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