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이 다양한데요 기술적인 차이가 존재하는건가요
블록체인 종류가 엄청많은데 기술적으로 다 다른건가요? 동일한 기술인데 발행처만 다른건가요. 발행처가 있다면 추적 해킹이 가능한거 아닌가요. 코인이라고 하는것들의 기술적 구현 차이가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 암호화폐의 기술적 차이에 대해 질문하셨는데요, - 암호화폐는 각기 모두 그 성격이 다릅니다. 발행사/ 발행량/ 프로젝트 및 플랫폼/ 암호화폐 사용 생태계/ 기술력/ 사업성 등 모두 각기 성격이 다르며, 때문에 모두 가치/ 가격이 다릅니다. - 다만, 거의 대부분의 암호화폐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발행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추적이 가능하며, 블록체인 기술로 분산저장되어 그 기술의 해킹은 어렵습니다. 해커가 해킹을 위해서는 모든 전세계의 노드의 컴퓨터를 동시에 해킹해야지만 가능한데 이는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그러나 암호화폐의 해킹은 보통 지갑관리 소홀로 인해 일어나며, 니모닉/ 프라이빗키 의 분실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질문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블록체인은 하나의 글로벌 신뢰 컴퓨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과거 컴퓨터가 처음 세상에 나온 이후 인터넷의 개발은 세상을 하나로 연결시는 글로벌 컴퓨터 역할을 해왔습니다. - 이러한 세상을 하나로 연결하는 데는 성공하였으나 해킹 , 가짜 뉴스 등의 신뢰성을 보장하지는 못했습니다. - 이러한 부분에서 신뢰성을 보장하는 기술이 블록체인 기술이며, 인터넷 상의 데이타를 블록체인의 블록속에 녛어서를 이를 검증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타만을 생산하고자 하는 것이 블록체인이며, 글로벌 신뢰 컴퓨터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 스마트 컨트렉트는 이러한 신뢰를 보장하는 블록체인이 체결하는 계약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또한 비트코인은 제3의 신뢰기관, 중앙집중, 신뢰 중재자의 개입없이 (이것이 탈중앙화)신뢰성을 확보하는 모델인 P2P 생태계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첫 사례에 불과하다며, 비트코인에 한정되지 말고 블록체인이 창출할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계속 관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가됩니다. - 또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은 기술적으로는 분리될 수 있지만 암호화폐가 없으면 자산 거래가 활성화될 수 없으며 결국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암호화폐의 대중화가 블록체인 경제를 완성시킬 것입니다. - 이러한 신뢰를 보장하는 글로벌 컴퓨터의 확장성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4차 산업의 혁명의 윤활유로써 블록체인과 암호화폐가 사용될 것 입니다. 예로써 자율주행차의 운전에 대한 신뢰성 확보 및 보험, 요금 등의 결제, 사물인터넷의 자동 주문, 주기적 보수에 대한 문제 해결 등 드론 등 적용될 수 있는 역영이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또한 리브라는 페이스북이 세계 20억명이상의 사용자 기반을 바탕으로 달러, 유로 , 엔 등의 비율을 적용하여 만들려고 하는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아직 리브라는 출시가 되지 않았으며, 이는 미국에서의 승인을 받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 향후 리브라가 출시되면 달러 가치와 반비례가 될 것으로 보이며, 다만 리브라가 아직 확정된 상태가 아니기 떼문에 정식 출시 전 여기가지 사기 코인이 있을 수 있어서 조심해야 합니다. 
- 블록체인의 경우 목적에 따라서 기존의 블록체인으로는 효율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예를 들면 이더리움에서 음원관련 서비스를 하려고 한다면 음원을 블록체인에 저장을 해야하는데 그때 발생하는 수수료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 그렇다보니 서비스에 따라서 블록의 크기나 수수료 정책등을 수정해서 새로운 블록체인을 만드는 것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 기본적인 원리는 대부분 비슷하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