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보호를 위한 예술 프로젝트가 창의성을 어떻게 발현했는지 알려주세요
지속가능한 에코아트 프로젝트 중에서 재활용 자원을 활용하거나 생물 다양성을 시각화한 작품들이 있는데, 기술적 혁신과 예술성 사이의 균형을 맞춘 사례가 궁금합니다.
참여형 설치물이나 대규모 퍼포먼스를 통해 환경 인식을 전환시킨 구체적인 사례가 있다면 설명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
루트 유에스에이 Route USA의 비치 클린 Beach Clean 프로젝트는 전 세계 해변의 폐기물들을 줄이기 위해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해변의 쓰레기를 청소하고 이를 예술 작품으로 재탄생시키는 프로그램입니다.
분류된 플라스틱이 예술 작품의 일부로 활용되기도 하고, 이를 통해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동시에 재활용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단순히 쓰레기 줍기를 넘어, 예술로 승화시켜 사람들에게 보다 강렬한 시각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죠. 또한, 참여자들도 직접 환경 문제를 체감하고, 예술 작품을 통해 문제의 심각성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에코아트 란 용어는 사실 미술용어는 아닙니다. 미술관에서 분류하는 미술의 형태라기 보단 환경과 관련하여 환경보호 캠페인 작품들을 에코아트 라고 부르긴 하지만 따로 장르가 있진 않습니다.
사실 미술의 목적이 새로움의 창작과 유희에 맞춰져 있다면 에코 아트라 불리우는 작품들은 개인을 드러내기 보단 환경보호 라는 목적에 맞춰져 있으므로 프로파간다 미술과 오히려 더 가깝습니다.
가장 유명한 환경보호를 위한 프로젝트라고 하면 해양에 떠있는 프라스틱 쓰레기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태평양의 쓰레기 섬을 정식국가로 인정받기 위해 시도를 하는 과정이었습니다. 해당 국가의 시민으로 다양한 헐리웃 배우와 정치인들이 참여를 했고 여왕도 선출하는 등 세계적으로 이슈를 모았습니다. 이후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여 화폐, 여권 들도 만들고 국가로 인정받기 위한 자격을 갖추었고 결국 UN 에서 쓰레기 섬을 국가로 인정해주기 까지 하였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