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9

개기 일식같은 현상 어떻게 해서 일어나는가요?

한번씩 뉴스를 보면 오늘은 일식이 일어난다는 뉴스가 나오고 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왜일어날까요? 일식이 될때 지구에는 아무런영향은 없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22.11.09

    일식과 월식은 지구의 공전, 달의 공전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태양과 지구 사이에 달이 놓이게 되어 일직선상이 되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태양을 달이 전부 가려버리면 개기일식, 일부만 가리면 이것이 바로 부분 일식입니다.

    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들어오는 것이고, 태양 - 지구 - 달로 일직선상이 되면 나타납니다.

    지구의 그림자 안으로 달이 완전히 들어가면 굴절에 의해 빨간색 빛을 반사시키게 되고 달이 붉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달은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합니다. 이렇게 계속 움직이고 있다보니 어쩔때는 일직선이 될 때가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태양 지구 달 순서로 일직선이 되면 태양 빛이 지구에 의해 가려져서 달에 그림자가 지게 되면서 월식이 발생합니다. 그와 반대로 달에 의해 태양이 가려지면 일식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영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태양을 가리는 천문현상을 말한다.

    지구가 태양 주변을 공전하고 있고, 달이 지구 주변을 공전하고 있는데, 이때 일직성 상에서 태양 - 달 - 지구 형태로 배열이 되는 삭에는 달이 태양을 가리는 일식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달이 공전하는 궤도(백도)가 지구가 공전하는 궤도(황도)보다 5도 정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항상 일식 현상이 발생하지는 않으며 따라서 일식은 항상 달이 보이지 않는(정확히는 빛이 닿지 않는 부분만 보여서 검은색이 되어 있을 때)삭일 때 일어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금성이나 수성으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기는 하지만 이들은 지구로부터 워낙 멀리 떨어져있다 보니 태양 표면에 점 하나가 지나가는 정도로만 보일 뿐, 달처럼 태양 전부를 가리는 것은 못하기 때문에 그나마 금성은 맨눈으로 보면 작게 점으로 보이지만, 수성은 맨눈으론 보이지 않습니다.

    특히 개기일식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생에 한번 볼까 말까한 경험이고 대낮에 하늘이 캄캄해져 별이보이고 주변이 마치 환상세계처럼 시시각각 비현실적으로 변하는 경험이라 평생 절대 잊을 수 없는 추억이자 삶에 대한 태도나 인생관까지 달라지게 만들 수 있는 엄청난 경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달이 해를 가린다고 해서 어떤 특별한 현상이 일어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단순한 진기한 현상으로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월식은 태양 지구 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되는 위상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 밤하늘에 떠있는 달은 태양 빛을 반사해서 빛이 나는데, 지구 그림자가 달을 가리면서 월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월식 때에는 달이 붉게 보입니다.

    일식태양 달 지구 순으로 배열된 경우에 발생하고 달의 위상이 삭일 때 관측되는 현상입니다. 대낮에 일어나며 달에 의해 태양이 가려질때를 일식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들은 단순히 공전과 자전에 의해 그림자가 지는 현상이므로 지구에는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일식이나 월식으로 인해 잠시 어두워질 수 있으며, 태양이 가려지는 일식의 경우 잠시동안 태양 에너지를 받지 못해 아주 미미하게 기온이 내려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