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WINTERFELL
WINTERFELL

독감 백신과 코로나19백신을 반드시 양팔에 각각 접종해야 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56
기저질환
없슴
복용중인 약
없슴

올 가을과 겨울에 독감과 코로나19바이러스가 함께 유행하는 '트윈데믹'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 후에 후유증을 호소화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요. 독감 백신과 코로나19백신을 양팔에 각각 접종하도록 전문가들이 권하고 있습니다. 독감 백신과 코로나19백신을 양팔에 각각 접종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철저한딩고76
      철저한딩고76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독감 백신과 코로나19백신을 양팔에 각각 같은 시기에 반드시 접촉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시간차를 두고 접종을 해도 가능합니다. 독감과 코로나에 대한 대항을 위해서는 건강상태에 따라 의사와 상의하에 독감 및 코로나 백신 시기를 결정하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독감백신과 코로나백신을 접종시에 비슷한 시기에 접종을 해도 가능하나 현재 건강상태에 따라 의사와 상의하에 득과실을 고려하여 동시 접종여부를 결정하길 권장드리며 하나를 접종후에 상태를 보고 2주 정도 간격을 두고 접종을 권장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백신 접종 후 가장 흔한 부작용은 접종부위의 부종과 통증입니다.

      한쪽 팔에 두 백신을 모두 접종하면 이러한 부작용이 한꺼번에 나타나 접종자가 증상을 더 심하게 느끼고

      부작용이 심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양팔에 각각 접종을 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코로나백신과 독감백신을 같은날 접종하는 경우에는 양쪽팔에 각각 맞으시는것을 권하고 있습니다만 그 이유에 대해서 알려진바가 없습니다.

      아마도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일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현재 연구결과에 의하면 독감백신과 코로나 백신 사이에는 상호작용이 크게 없어서, 동시에 접종 가능합니다.

      독감백신을 제외한 다른 백신을 코로나백신과 접종하려면 최소 2주 간격을 두고 접종해야 합니다.

      아무래도 같은 팔에 동시에 접종하게 되면, 한쪽팔에 심한 면역반응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할 수 있고, 혹시모를 상호작용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한쪽팔에 코로나 백신 접종했으면 다른 팔에 독감백신 접종합니다.

    • 한 쪽 팔에 두 가지 백신을 접종하게 되면 서로 영향을 주어서 효과를 저해할 우려도 있으며, 한 팔에 주사를 다 맞다보면 그로 인한 통증 등의 문제도 있기 때문에 양팔에 각각 접종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백신을 같은 팔에 접종하면 면역반응이 너무 강하게 나타나고 서로 방해할수도 있어서 양쪽 팔에 접종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같은 팔에 접종하시면 엄청 아프실걸요.. 각자 주사부위를 달리해서 서로간에 혹시 모를 상호작용을 줄이려고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겨울철 독감과 코로나가 같이 유행할 수 있기에 같은날 접종 하셔도 됩니다. 다만 다른팔에 접종할 시 하루에 접종할 수 있습니다. 한쪽팔에 두가지 백신을 같이 접종하면 혼용되어 버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백신 접종을 2개를 동시에 접종하면 한쪽에 한 번씩 맞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같은 팔에 2개를 동시에 접종하지는 않아요. 보통 접종 후 부작용 중에서 접종 부위의 부종이나 통증도 있기 때문이지요.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현재 코로나19 예방접종 지침에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은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을 포함한 다른 백신과 접종 간격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동시에 접종을 하게 될 경우 국소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각각 다른 부위에 접종을 해야 하며, 반응원성이 강하게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의사와 상의하여 접종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각각 다른부위에 접종하게 됩니다.

      주사부위는 다르게 하는것이 백신을 2가지 이상 맞을떄 원칙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같은 팔에 접종하면 면역반응이 강하게 나타나기도하며 충분하지 않을 수 있기에 다른 팔에 접종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반드시 양팔에 접종하는 것은 아니나 당일 날 같이 접종해야 한다면 나눠서 하라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이렇게 나눠서 하는 것은 두 가지 백신 접종으로 인하여 근육통 및 뻐근함 증상이 심할 수 있어 통증 자체를 나누기 위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불편감입니다. 즉 같은 팔에 모두 접종하게 되면 반응에 의해서 통증 및 불편감이 매우 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급적 다른 팔에 접종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이러한 불편감이 클 것으로 예상해서 보통은 2주 정도 간격을 두고 접종하라고 권하기도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백신 접종부위 통증은 아주 흔한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입니다.

      백신을 접종하게 되면 국소적으로 주사부위에 조직 손상이 생기며 이후 주사부위에 약물이 들어가면서 면역유도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통증, 부종, 열감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개는 1-2일 후에 저절로 호전되지만 길게는 5-7일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한 곳에 접종할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나누어 접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세이 약사입니다.

      백신을 접종하면 접종부위에 발적, 부기, 통증 등과 같은 국소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데 두가지 백신을 한쪽 팔에 맞을 경우 이러한 국소반응이 집중될 수 있으므로 양팔에 각각 접종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백신 주사를 접종하게 되면 접종 부위에 통증이라던지 염증이 생길 수 있어 같은 팔에 접종을 하는 것은 이러한 부작용을 높힐 가능성이 있기에 양팔에 접종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양팔에 접종했을 때에는 같이 접종한다고 하여 이상반응이 더 늘어난다는 근거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독감 백신과 코로나19백신은 동시에 접종이 가능합니다.다만 두백신모두다 접종후 주사부위통증 및 부종이 생길수 있어 같은팔에 접종시 주사부위통증 과 부종이 너무 심하게 나타날수 있어 서로 다른팔에 접종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한쪽팔에 백신을 한번만 접종하기 때문에 양쪽팔에 접종하게됩니다. 이유가 있는건 아니고 한쪽에 다 접종하기에는 팔에 부담이 되니 한쪽씩 나눠서 접종하는거죠.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독감백신, 코로나19백신을 같은 팔에 맞으면 면역반응이 너무 강해지므로 왼쪽, 오른쪽을 나눠서 접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