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성형외과 이미지
성형외과의료상담
성형외과 이미지
성형외과의료상담
순박한태양새85
순박한태양새8521.04.21

자궁경부암 검사 후 결과 궁금합니다.

자궁경부암 검사 후 반응성 세포 변화 하고 나왔는데요..

어떻게 해석 해야 하나요??

정상인건지.. 검사에 이상이 있다는건지 .. 음성 양성도 아니니깐 저렇게 나오니 찝찝하네요..

찾아보니

자궁경부암 반응성 세포변화는 세포의 모양이 변했지만

유전자적 변화까지 일어난 경우는 아니기 때문에

대개 원인이 사라지면 세포도 정상으로 회복됩니다.

6개월뒤 다시 검사해야하면 되는 걸까요??​

괜찮은건가요??

따로 뭐 관리 해야 할게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자궁경부세포 검사에서 반응성 세포 변화는 검사 결과를 받으신 것 처럼 일시적 염증이나 위축성 변화로 인해 흔하게 관찰되는 양성 변화입니다.

    자궁경부에서는 염증이 발견되지 않았고 특별한 증상이나 불편감이 없다면 1년 후 정기적인 부인과 검진을 받으시면 됩니다. 냉이나 가려움증이 있는 경우에는 단기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하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자궁경부암 검사는 자궁경부를 검사솔로 문질러서 떨어져 나온 세포를 채집하여 현미경으로 분석해서 판단하는 검사입니다.

    채집된 경부 세포의 모양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보이는 모양에 따라서 병리의사의 해석이 달라지는데요...

    반응성 세포변화는 간단하게 설명들으신 대로, 세포의 모양이 변했으나 유전자적 변화가 일어난 경우까지는 알수 없다는 얘기입니다.

    자궁경부암 검사는 실제로 적은 유전자적 변화까지를 알수 있는 검사는 아니구요, 세포내의 핵 모습이 심하게 변형되어 있다면 유전자적인 변화 즉, 자궁경부암 세포의 가능성까지도 염두에 두게 되는 것이지요.

    각설하고, 반응성 세포변화를 보이게 되면 인유두종 검사(HPV 검사)를 병행하게 되는데 이는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바이러스입니다. HPV 검사상 음성, 즉 바이러스가 검출이 되지 않는다면 반응성 세포변화는 큰 의미가 없으며 실제로 추후 재검시에 거의 정상으로 나옵니다. 반면 HPV검사상 양성, 즉 의미있는 고위험군의 인 유두종 바이러스가 검출된다면 이는 바이러스에 의한 자궁경부 세포의 유전자적 변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관심을 가지고 계속적으로 추적관찰을 요합니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도 추적관찰 해보면 대개는 정상화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크게 걱정할 단계의 결과는 아닌 셈입니다.

    반응성 세포변화는 스트레스 관리 잘하시면서 몸의 면역력이 왕성하게 유지되도록 건강관리하시면 좋아질 수 있는 것이니, 크게 걱정 마시고 부인과 전문의에게 추적관찰 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