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편삼절이라는 고사성어는 어디에서 유래하였나요?
위편삼절이라는 고사성어는 한권의 책을 되풀이 해서 읽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고사성어는 어디에서 유래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종이가 없던 옛날에는 대나무에 글자를 써서 책으로 만들어 사용(使用)했었는데, 공자(孔子)가 책을 하도 많이 읽어서 그것을 엮어 놓은 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단 데에서 비롯된 말로, 한 권의 책을 몇 십 번이나 되풀이 해서 읽음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로 쓰입니다.그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자(孔子)가 만년(晩年)에 주역(周易)을 읽음에 어찌나 읽고 또 읽고 했던지 대쪽을 엮은 가죽 끈이 세 번이나 끊어지니 말하기를, 「내가 수년 동안 틈을 얻어서 이와 같이 되었으니, 내가 주역에 있어서는 곧 환하니라.」 공자(孔子) 같은 성인(聖人)도 학문(學問) 연구(硏究)를 위해서는 피나는 노력(努力)을 했다는 것이다. 논어(論語)에는 공자(孔子)가 「좀 더 일찍 주역을 연구(硏究)했더라면 많은 사람에게 허물을 적게 할 수 있었을 걸…….」 하고 주역 연구(硏究)를 더 못한 것을 아쉬워하는 장면도 나온다. 공자(孔子)의 위대한 문화적 업적(業積) 가운데는 이 위편삼절 같은 피나는 노력(努力)이 숨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자(孔子)는 또 논어(論語)에서 「나는 호학(好學)하다가 발분(發憤)하여 밥 먹는 것도 잊고, 즐거움으로 근심마저 잊고, 세월(歲月)이 흘러 몸이 늙어 가는 것도 몰랐다.」라고 했다.
출처: 네이버 한자사전 위편삼절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종이는 중국 동한(東漢)시기 채륜(蔡倫)이라는 사람에 의해 발명되었다. 종이가 있기 전에는 비단이나 대나무로 종이를 대신하였다. 대나무를 적당한 길이로 자른 다음 불에 쪼여서 기름을 뺀 것을 간(簡) 또는 죽간(竹簡)이라고 한다. 거기에 금속이나 붓으로 글자를 쓰고 가죽끈으로 엮어 맨 한 뭉치를 책(策) 또는 책(冊)이라고 불렀다. 오늘날 문장의 단위로 제1편, 제1권, 제1책이라고 부르는 것이 바로 여기에서 온 것이다. 《사기•공자세가(史記•孔子世家)》에는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공자는 만년에 '주역(周易)'을 즐겨 읽었으며 주역을 읽는 동안 죽간을 연결하는 위편이 세 번 끊어졌다." 또 공자는 "나에게 수년을 빌려준다면 내가 '주역'에 정통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로부터 공자가 주역을 얼마나 탐독했는지 짐작할 수 있는데서 유래되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위편삼절 한자 뜻과 음 > 가죽 위, 묶을 편, 석 삼, 끊을 절 입니다.
풀이 > 공자가 만년에 주역을 좋아하며 자꾸 숙독 하였기 때문에 맨 가죽 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고사 입니다.
열심히 공부한다는 뜻 이기도 합니다.
유래 > 위편은 가죽으로 맨 책 끈을 말합니다. 가죽으로 맨 책 끈이 세분이나 닮아 끊어진 것이 이다, 사기 ‘공자세가’에 있는 말로 공자가 주역을 좋아해서 어찌나 여러 번 읽고 또 읽었는지 그만 대쪽 (대를 쪼개서 기록하여 엮은 책)을 엮은 가죽 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고 한다고 유래 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