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신속한까마귀285
신속한까마귀28524.04.08

천둥 번개는 어떤 원리로 생기는 걸까요?

비가 많이 오는 날 하늘에서 꽝 하는 소리와 함께 번개가 치는것을 자주 볼수 있습니다.

하늘에서 천둥과 번개가 치는 이유는 어떤 원리로 인해서 생기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천둥번개는 뇌운이라는 거대한 구름 속에서 전하 분리와 방전으로 발생합니다. 뇌운 내부의 상승 기류와 강한 난류는 얼음과 물방울을 충돌시켜 양전하와 음전하를 분리합니다. 분리된 전하가 충분히 축적되면 구름 내부 또는 구름과 지표면 사이에서 불꽃 방전이 일어나 빛을 내는 번개가 발생합니다. 번개가 발생하면 주변 공기가 순간적으로 팽창하며 천둥이라는 굉음을 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천둥과 번개는 수증기가 모여 형성된 구름 내부에서 마찰이 일어나게 되면서 이 마찰에 의해서 불빛 형태인 번개와 소리인 천둥이 치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천둥 번개의 경우 구름속에 있근 전하들끼리 충돌하면서 생기는것이라고 합니다. 전하의 양에 따라 소리의 크기가 달라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천둥과 번개를 따로 부르는 사람도 있고 천둥번개 붙여서 부르는 사람도 있는데 천둥번개차이는 어떤 점이 다를까요?

    번개는 구름과 구름, 구름과 지표면 사이에서 공중 전기의 방전이 나타나 만들어지는 불꽃으로, 정전이라고도 하는데요.

    기상현상 중 하나로써 구름과 지표면 사이에서 발생

    한 번개를 벼락 혹은 낙뢰라고 하며, 번개가 치면서 '쾅' 하는 소리가 들리는데 이것을 천둥 또는 우레라고 합니다.


    1. 번개

    번개구름 속에서 분리 축적된 음·양의 전하 사이 또는 구름 속의 전하와 지면에 유도되는 전화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불꽃방전을 말한다. 번개방전 또는 뇌방전이라고도 하며, 구름속의 전하 사이의 방전을 구름속방전, 구름방전 또는 구름사이방전, 구름과 지면 사이의 방전을 대지방전 또는 벼락이라고 한다.



    2. 천둥

    공중전기의 방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리를 말한다. 공중전기의 방전로는 30,000K의 고온에 달하여 초음속으로 팽창하게 되므로 기압의 충격파를 일으켜 천둥을 울리게 한다. 천둥 그 자체는 0.5초 이하의 단시간의 현상이지만 방전로의 길이가 2∼14km에 이르고 있으므로 귀까지의 도달시간 차이 때문에 소리가 길게 끌면서 들린다. 천둥이 들리는 범위는 30km 정도이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에서 천둥과 번개가 치는 현상은 번개 방전 현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구름 안에서 양의 전하와 음의 전하가 분리되어 전하 차이가 발생하면, 이 전하 차이가 극복되기 위해 구름 사이나 구름과 지면 사이에 전기적 방전이 발생합니다. 이때 공기가 전기적으로 방전되면 번개가 번쩍이고, 방전된 공기가 빠르게 열파되면서 소리가 천둥 소리로 들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폭풍이 몰아치면 먹구름 속에서 물방울과 작은 얼음들이 부딪치며 마찰을 일으킵니다. 이 마찰로 얼음이 물에게 전자를 빼앗긴 채 상승하는데요. 이때 전하가 분리되어 있는 구름, 뇌운(번개구름)이 만들어집니다. ​ 그 결과 구름 위쪽은 양전하를, 구름 아래쪽은 음전하를 띠는데, 둘이 만나 순간적으로 강력한 전기를 만드는 것을 번개라고 합니다. 번개는 뇌방전 동안 발생하는 매우 밝은 불빛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뇌방전(雷放電), 즉 뇌운의 전하가 방전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뇌방전의 종류에는 뇌운에서 대지로 전하를 방출하는 낙뢰와 뇌운 내부에서 일어나는 운내방전, 뇌운과 다른 뇌운사이에서 일어나는 운간방전, 그리고 뇌운과 주위 대기 사이에서 일어나는 대기방전으로 구분됩니다! 뇌방전이 발생하면 전하가 이동하는 방전통로(번개줄기)에는 태양 표면의 온도보다 약 4배 이상 뜨거운 2만 7000도씨 정도의 열이 발생합니다. ​ 이때 방전통로의 압력이 상승하여 주변 공기가 급속히 팽창하면서 충격파음이 발생하는데!! 이 커다란 소리가 바로 천둥입니다. ​ 즉, 뇌방전시 방전통로의 높은 에너지가 소멸되는 과정에서 빛과 소리의 형태로 변환되는데 이 때의 불빛이 번개이고, 소리가 천둥인 것이죠.

    출처 : 한국전기연구원 - 천둥번개의 원리는 뭘까?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천둥은 번개가 발생할 때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번개는 높은 전기 에너지로 인해 공기를 급격하게 가열시키고 팽창시키면서 발생합니다. 이렇게 가열된 공기는 급격한 팽창과 수축으로 인해 폭발음을 일으키는데, 이 소리가 바로 '천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