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공부를 하는 중에 문제가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질문 드립니다
1.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① 정부지출
② GDP 갭
③ 낮고 안정적인 물가 상승률
④ 화폐 유통속도
2. 코로나로 많은 과학자들이 사망하여 많은 기술이 소실되었다면 장기적으로 물가와 GDP에 미치는 영향은? (언급 내용 외 변화는 전혀 없고, 최초 균형점은 잠재 GDP였다고 가정)
① 물가: 하락 GDP: 상승
② 물가: 상승 GDP: 변화없음
③ 물가: 변화없음 GDP: 상승
④ 물가: 상승 GDP: 하락
3. 코로나로 많은 과학자들이 사망하여 많은 기술이 소실되었다면 단기적으로 물가와 GDP에 미치는 영향은? (언급 내용 외 변화는 전혀 없고, 최초 균형점은 잠재 GDP였다고 가정)
① 물가: 변화없음 GDP: 하락
② 물가: 변화없음 GDP: 변화없음
③ 물가: 하락 GDP: 하락
④ 물가: 하락 GDP: 변화없음
4. 한국은행이 공개시장조작(Open market operation)을 통하여 10억원 어치 채권을 시중은행에 판매했다. 지급준비율이 5%일 때 옳은 문장은?
① 시중에는 10억 보다 더 적은 유동성이 감소한다.
② 시중에는 10억 보다 더 많은 유동성이 감소한다.
③ 시중에는 10억 만큼 유동성이 감소한다.
④ 시중에는 10억 만큼 유동성이 공급된다.
5. 한국은행이 공개시장조작(Open market operation)을 통하여 10억원 어치 채권을 구입했다. 지급준비율이 5%일 때 옳은 문장은?
① 시중에는 10억 보다 더 많은 유동성이 공급된다.
② 시중에는 10억 만큼 유동성이 감소한다.
③ 시중에는 10억 보다 더 적은 유동성이 공급된다.
④ 시중에는 10억 만큼 유동성이 공급된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금 질문은 경제관련 질문에 올리실 질문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해당 문제들은 해당 문제들에 대한 답안지를 참조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