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늠름한참밀드리146
늠름한참밀드리14622.12.15

오줌이 깨끗하다는 말이 사실인가요?

자기 오줌을 마시는 사람도 있고 오줌을 피부에 묻히는 사람도 있던데

건강한 사람의 오줌성분에 유해한성분이 없다는데 사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오줌이란 혈액을 걸러낸 성분이므로 우리가 생각하는 오염된 물은 아닙니다.. 단 그 성분을 보면 대부분 물이고 일부 무기염류들과 요소(단백질 분해산물)같은 물질이 들어있죠...근데 그런 부분 때문에 독성이 나타나게 되죠, 예를 들면 수술실에서 소독약이없을때 오줌으로 손을 씻는다는 말도 있어요..

    배출시 오줌에는 냄새가 덜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냄새가 지독해지는 이유는 세균에의해 요소(산)등이 분해되면서 암모니아를 생성하기 때문이죠...


    결론은 오줌 자체는 더럽지 않아요...(아침에 자신의 오줌을 마시는 사람도 있다고합니다.) 단 배출후 오염된 오줌은 독성이 있습니다..


    도움 되셨길...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오줌에는 요소, 요산, 아미노산, 무기염류등이 들어 있습니다. 몇가지를 빼고는 몸에 유익한 성분들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체내에 있는 여러 노폐물들이 수용액으로 방광에 저장되어 있다가 요도를 거쳐 체외로 배출되는 것.


    대변에 대응해 작은 변이라는 뜻의 소변이라고도 한다.


    흔히 똥을 배설물로 착각하지만, 진짜 배설물은 땀과 오줌 두 가지이다. 실제로 땀과 오줌의 성분 차이는 크지 않다. 물을 많이 마셨거나 탈수이거나에 따라 농도가 달라지지만 보통 수분의 비율을 비교하면 99%와 90%의 차이에 오줌에는 요소가 포함된다는 것 정도.


    똥은 소화 과정의 부산물로 '위상수학'의 관점에서 인체(세포)의 내부에 들어갔다가 나온 물질이 아니다. 인체의 구조를 생각해 보면 입부터 항문까지 기다란 관으로 이어져 있다고 보자. 고로 이 구조를 단순히 생각하면 도넛과 같은 구조라 생각할 수 있으므로 배설물이 아니라 배출물이라고 해야 더 옳다. 생물학에서는 인체의 기관계들 중 배설계가 아닌 소화계에 관련된다.


  • "실제로는 먹는 음식이나 나이를 막론하고 오줌에도 균이 소량이나마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소변은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라, 몸 밖에 나온 상태에서 가만두면 오래지 않아 오염되고 성분이 변질되며 지린내까지 풍긴다”

    “누가 흘린 소변이건 맑으니 냄새 안 나고 괜찮은 오줌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