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붉은연어
붉은연어

하임리히법과 같은 긴급 대응건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배우나요?

안녕하세요. 성인이 되어 살아가면서 하임 리히법과 같이 긴급으로 사용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혹시 이런 대응 건들이 학교 교육과정에서도 배울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학교나 체육시설 등 단체 생활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의 사용법, 드레싱, 붕대, 보호 장구의 사용법, 환자의 평가 및 사고 관리, 환자의 이송, 각종 부상 및 응급질환에 따른 대처법 등에 관한 응급상황에서의 처치법을 배우는 것이 좋습니다. 심폐소생술, 하임리히법 등 구조구급 실무교육은 이론과 실습으로 구분하여 진행되며, 이론교육은 환자 구조, 상태 확인, 신고와 자동제세동기(AED, Artium Elegantium Doctor) 준비, 자동제세동기(AED) 사용, 응급 처치, 병원으로 이송 등 일련의 구조구급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진행됩니다. 실습교육은 흉부압박, 인공호흡, 자동제세동기(AED) 등 심폐소생술 실습과 기도(氣道)가 이물질로 인해 폐쇄되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처치법인 하임리히법(Heimlich Maneuver) 실습으로 이루어집니다

    감사합니다.. ~! !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하임리히법과 같은 응급 처치 기술은 학교 교육과정의 일부로 배우고 있습니다. 특히 보건교육이나 체육수업에서 응급상황에 대한 기본 지식을 배우고 실습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교육과정 상 의무적으로 배우는 것은 아니지만 보통의 초등학교에서는 학교 보건교사가 1년중 일정시간을 보건수업 시수를 확보하여 수업을 하게끔 되어 있습니다. 그때 하임리히법이나 심폐소생술과 같은 응급처치술에 대해서 이론을 배우고 실습까지 하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학교 정규 과정에는 수업이 없습니다 요즘 응급처치에 대한 중요성이 많이 필요한 상황이 많아 지고 있어요

    조금만 빨리 응급처치를 했으면 살았을 생명들도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학교에서는 외부 강사를 초청 해서 학교 강당에서 특강을 하고 있어요

    배워두면 언젠가 사용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교직원 대상으로 수업을 할 때도 있습니다

    아이들이 응급 처치 하기에는 무리인 경우가 많아 선생님들 대상으로 교육 실습 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학교와 지역 교육청의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임리히 법과 같은 긴급 대응법은 응급처치에 대한 내용이기에

    중/고등학교 체육시간이나 보건시간에 배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