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10.07

소금쟁이가 어떻게 물 위를 떠다닐 수 있나요?

소금쟁이가 어떻게 물 위를 떠다닐 수 있나요?

소금쟁이의 발바닥에는 어떤 특수한 기능이 있을까요?

소금쟁이의 몸 구조나 생물학적 특징 중 어떤 요소가 이를 가능하게 하는지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의 다리에는 유분기가 있습니다. 이 기름의 성질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물에 뜨게 되는 것 입니다.

    물론 소금쟁이가 이 비중에 의해서 뜰 정도로 무게가 가벼운 것도 이유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몸 구조: 소금쟁이의 몸은 물을 밀어내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는 몸통 부분에 있는 다리와 수염이 물 위에서 밀어내는 압력을 이용하여 가능합니다.

    2. 일어서기: 소금쟁이는 물 위에 일어서기 위해 다리를 물속에 놓고, 상체를 일으킵니다. 이 상태에서 소금쟁이는 다리와 수염을 이용하여 물 위를 움직이며, 일정한 속도로 전진합니다.

    3. 움직임: 소금쟁이의 다리와 수염은 물 위를 밀어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을 이용하여 소금쟁이는 물 위를 빠르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의 발에서는 기름이 있기 때문에 물에 뜰 수 있게 되는데요. 기름은 물보다 비중이 낮으며 표면장력에 의해서 무게가 가벼운 소금쟁이는 수면 위로자유롭게 다닐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소금쟁이는 가라앉지 않은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박요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분자구조 상 수소결합이라는 화학적 결합이 작용하여 표면장력이라는 힘이 작용하는데, 이는 분자가 서로 접촉하여 응축하려는 모양을 나타냅니다. 이슬이 동그랗게 맺힌 모양을 보면 표면장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금쟁이는 무게가 물의 표면장력보가 작기 때문에 물 위에 뜰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는 일단 아주 가볍습니다.

    그리고 발 끝에 기름이 분비되어 물에 가라앉지 않게 되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가 물을 떠나니는 이유는 물의 표면 장력 때문에 그렇습니다 물의표면 장력은 물 분자들이 서로 붙어있는 힘으로 물 위에서 떠다니는 물체에게 위쪽으로 작용합니다 소금쟁이의 발이 물 위에 떠다니기 쉬운 형태를 가지고 있고 표면 장력이 발에 작용하여 물 위에 뜰수있도록 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