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멸종 위기에 처한 포유류는 얼마나 되나요?
현재 인간의 환경 파괴로 인해 멸종으로 몰린 동물과 식물들이 많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한 포유류는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권창근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세계 자연 보전 단체들에 의해 멸종 위기에 처한 포유류의 수는 계속 변하고 있으며, 정확한 수를 제시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의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해당 데이터에 따르면 많은 포유류 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합니다.
IUCN의 적색목록은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의 등급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며, 이 목록에 따르면 멸종 위기에 처한 포유류의 종 수는 수백 종에 이를 것으로 보고됩니다. 이러한 멸종 위험에 처한 포유류들은 서식지 파괴, 생태계 변화, 기후 변화, 불법 사냥, 밀렵, 그리고 인간의 개입으로부터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따라서, 멸종 위기에 처한 포유류의 수는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현재까지의 보고에 따르면 수백 종 이상의 포유류가 멸종 위험에 처해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 보전에 대한 계속적인 노력과 보호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아시다시피 지난 50년간 환경파괴로 전세계 동물의 3분의 2가 사라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사람들의 노력으로 48종 정도는 멸종위기에서 벗어나기도 하였으나 더 많은 동식물들이 멸종위기로 몰리고 있습니다. 자료를 찾아봐도 포유류 분야 대해서만 멸종 위기종의 통계가 나오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동물 식물 군을 전부 포함하여 10만 종을 기준으로 3만 2천여 종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고 합니다. 말그대로 살아숨쉬는 동식물중 30% 정도가 멸종위기 종이니 포유류 역시도 3분의 1, 30% 정도는 멸종위기에 처했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포유동물의 약 25%가 멸종위기에 처해있다고 하는데요 포유류 종중 총 약 5487종 중에서 약 1141종이 멸종위기에 처해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에서 서식하는 포유류는 약 125종입니다.
이 중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종은 반달가슴곰, 붉은박쥐, 사향노루, 산양, 수달 등을 포함하여 20종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멸종 위기종의 현주소
최근 기후변화가 더욱 가속화되면서 멸종 위기 동물 문제 역시 심각해졌다. 일부 과학자들은 현재 지구는 6차 대멸종을 겪는 중이라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기도 했다. 대멸종이란 지구상에서 생물종의 다양성이 짧은 시간 동안 광범위한 지역에서 감소하는 것을 뜻한다. 미국 마노아 하와이대학교 ‘태평양 생명과학 연구센터’ 연구교수 로버트 코위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과학 저널 ‘바이오로지컬 리뷰’에서 연체동물이 처한 상황을 토대로 추론한 대멸종 진행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15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연체동물 15만~26만 종이 사라진 것을 설명하며 이는 지구 생물의 약 200만 종의 7.5~13%에 달한다고 밝혔다.
우리가 실제로 6번째 대멸종을 목격하고 있다는 것을 확증하는 열쇠가 됐다”라며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종은 동물군 별로 편향돼 있으며 연체동물의 멸종 문제가 경시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현재까지 보고된 것에 비해 실제로 지구에서 멸종하고 있는 생물은 훨씬 많다는 것이다. 그는 “멸종 생물종의 급격한 증가와 동식물 개체 감소가 명확히 드러나고 있지만, 일부는 아직 이런 현상이 대멸종이 아니라고 부인하고 있다”라면서 “이는 포유류나 조류에만 집착하고 생물 다양성의 큰 부분을 담당하는 무척추동물을 무시한 편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또 다른 부분은 지구상의 생물이 지금까지 5차례 대멸종을 겪었지만 인간에 의한 대멸종은 이번에 제기된 6차 대멸종이 처음이라는 것이다. 4억 5천 년 전 화석 종의 60~70%의 종이 멸종한 오르도비스기 말기 대멸종을 시작으로 3억 7천5백만 년 전 데본기 말기 대멸종, 2억 5천2백만 년 전 전체 생물의 과 수준에서 57%의 생물이 멸종한 페름기 말기 대멸종, 2억 1백만 년 전 전체 종의 70~75%가 멸종한 트라이아스기 말기 대멸종, 소행성 충돌 등으로 공룡을 비롯한 당시 생물종 75%가 멸종한 백악기 말기 대멸종이 지구가 과거에 겪은 5차례 대멸종이다. 이는 모두 소행성 충돌이나 지각변동 등 자연현상에 의해 발생한 대멸종이다. 반면 현재 제시되는 6차 대멸종은 인간의 생태계 파괴로 인한 결과라는 점이 많은 생각이 들게 한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멸종위기 포유류의 종류는 수백종에 이른다고 하는데요.
우리에게 널리알려진 늑대나 여우 수달도 여기에 해당하죠.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