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9

조선의 세종은 칠정산은 어떠한 책이었고 칠정산은 당시 천문학서 가운데 어느 정도 수준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선의 세종은 칠정산은 어떠한 책이었고 칠정산은 당시 천문학서 가운데 어느 정도 수준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글자 그대로 ‘일곱 가지의 정치’가 아니라 해와 달, 화성, 수성, 목성, 금성과 토성이라는 다섯 행성을 함께 아울러 칭한 것이며 칠정산은 세종시대 최첨단 역법서로써 1653년 시헌력법을 도입, 시행할 때까지 기본적인 역법이 되었습니다. 1442년에 이 정도의 천문학 계산을 할 수 있던 나라는 중국과 아라비아 외에는 조선밖에 없었기 때문에 당시 우리 민족의 천문학은 세계 최고의 수준에 올라 있었다는것을 알 수있습니다.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24.01.19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칠정산은 1442년(세종 24년) 정인지, 정흠지, 정초등이 만들어 1444년(세종 26년)에 출판하였다. 원나라의 수시력과 명나라의 『태음통궤(太陰通軌)』 및 『태양통궤(太陽通軌)』를 참고로 하여 수시력의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기 쉽게 해설하고 있다고 합니다. 아울러 날짜 계산과 24절기의 예보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으며, 책의 마지막 부분에는 한양(당시 서울)을 기준으로 하여 동지와 하지 후의 일출몰 시각과 밤낮의 길이를 나타낸 표가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