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3.08.25

오로라 현상은 어떤 이유로 발생하는건가요?

북유럽에서 관측이 된다는 오로라를 보면 너무 아릅답기도 하고 무섭기도 하던데요

오로라 현상은 어떤 이유로 발생하는건가요? 오로라가 발생하기 위한 조건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6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나오는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에 의해 극지방으로 끌려가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태양에서 나온 입자들, 즉 '태양풍'은 전하를 띤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런 입자들이 지구에 도달하면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게 됩니다. 이 때, 지구의 자기장은 태양풍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합니다. 그 결과, 태양풍의 입자 대부분은 극지방으로 향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발생한 태양풍과 지구의 자기장 사이에서 상호작용함으로써 발생합니다. 태양풍은 태양에서 방출되는 전자와 프로톤으로 이루어진 입자의 흐름입니다. 이들 입자는 지구의 자기장을 따라 흘러가다가 대기권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때 자기장과 입자들의 상호작용으로 오로라가 발생합니다 태양풍에서 온 입자들은 지구의 대기권과 상호작용하면서 에너지를 전달합니다. 이 과정에서 대기권에 있는 원자와 분자들이 에너지를 흡수하고, 다시 방출하면서 빛을 발산하게 됩니다. 이때 발생하는 빛이 오로라의 다양한 색상으로 관측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지구의 자기력선을 따라 대기로 떨어지는 하전 입자들이 대기 중에 있는

    원자 또는 분자들과 충돌하면서 상태가 들뜨게 되는데요.

    이렇게 들뜬 기체들이 원래 있었던 바닥 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방출하게 됩니다.

    이러한 충돌들이 많이 발생하게 될 경우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을정도로 빛을 다량으로 방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우리는 오로라라고 부릅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오로라 현상은 태양에서 방출된 태양풍이 지구의 자기장에 의해 지구의 극지방으로 유입되고, 이 태양풍의 에너지가 지구 대기의 산소와 질소 원자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태양풍은 태양 표면에서 발생하는 태양의 자기장 에너지입니다. 태양풍은 태양 표면에서 빠른 속도로 방출되어 지구를 향해 이동합니다. 지구의 자기장은 태양풍의 진행을 방해하고, 태양풍의 에너지가 지구의 극지방으로 유입되도록 합니다.


    지구의 극지방에 유입된 태양풍의 에너지는 지구 대기의 산소와 질소 원자와 충돌합니다. 이 충돌로 인해 산소 원자는 녹색과 붉은색 빛을 방출하고, 질소 원자와 분자는 파란색, 자주색, 흰색, 노란색 등의 빛을 방출합니다.


    따라서 오로라의 색은 충돌하는 원자의 종류와 충돌의 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가장 흔하게 관측되는 녹색 오로라는 산소 원자가 방출하는 빛입니다. 붉은 오로라는 산소 원자 또는 질소 분자가 방출하는 빛이며, 파란색 오로라는 질소 분자가 방출하는 빛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오로라 현상은 지구의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자외선과 가스 분자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주로 고위도 지역에서 관측되며, 밤하늘에 다채로운 빛의 띠가 춤추는 듯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오로라 현상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태양풍과 자외선 발산: 태양은 지속적으로 자외선과 일렉트론 등의 입자를 발산하는데, 이를 "태양풍"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자외선과 입자들은 지구의 대기로 향하게 됩니다.

    2. 지구의 자기장과 자기권: 지구는 강력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태양풍에서 나온 입자들은 지구의 자기장을 따라 돌아오면서 지구의 극지방 근처로 향하게 됩니다. 이 때, 입자들은 자기권으로 불리는 대기층의 특정 높이에서 재조직되어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게 됩니다.

    3. 가스 분자와 발광: 지구의 대기 중에는 주로 산소와 질소 등의 가스 분자들이 존재합니다. 태양풍에서 오는 입자들이 대기 분자와 상호 작용하면서 에너지를 전달합니다. 이 에너지는 대기 분자들의 전자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전자들이 원래의 에너지 상태로 돌아오면서 빛을 방출합니다. 이 과정으로 다양한 색상의 빛이 생성되며, 이것이 오로라 현상을 만들어냅니다.

    결국 오로라 현상은 태양에서 나온 입자들과 지구의 자기장, 대기 분자들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런 현상은 지구의 극지방에서 주로 관측되지만, 강한 태양 활동이 있을 때에는 중위도 지역에서도 관측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 현상은 태양에서 방출된 대전 입자가 지구 자기장에 의해 지구 극지방으로 유입되어 대기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태양은 항상 폭발과 같은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태양에서 대전 입자들이 방출되는데, 이 입자들은 지구 자기장에 의해 지구로 유입됩니다. 지구 자기장은 지구를 둘러싼 자기장으로, 지구를 외부의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전 입자들이 지구 자기장에 의해 지구 극지방으로 유입되면, 지구 자기장과 반대 방향의 자기장을 가진 대기와 충돌합니다. 이때, 대기 중의 분자들이 전기적으로 자극되어 빛을 내게 됩니다. 오로라의 색은 대기 중의 분자에 따라 다릅니다. 산소 원자는 녹색빛을 내고, 질소 원자는 붉은빛을 냅니다. 또한, 오로라의 모양은 대기의 밀도와 전류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오로라 현상은 지구뿐만 아니라,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다른 행성에서도 관측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 현상은 태양풍의 입자들과 지구의 자기장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이 대기권에서 에너지 방출로 이어지면서 오로라가 관측됩니다.